위로가기 버튼
보도자료

김승환 교육감 “현정부 교육정책 실망, 교육지방분권에 집중”

교육불평등, 정시확대, 국가교육위원회에 일선 교사들 빠져 쓴소리
교육에 대한 의지 없어, 새 교육플랫폼 언급 과 공직복무 해이 관리 감독 철저도 언급

6일 전북도교육청에서 김승환 전북교육감이 신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조현욱 기자
6일 전북도교육청에서 김승환 전북교육감이 신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조현욱 기자

김승환 교육감은 6일 기자회견에서 “3선임기의 마지막 단계는 바로 교육지방분권의 기틀을 마련해 놓는 것”이라면서 “국가가 각 지역 교육에 간섭하는 일이 없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육감은 “지방교육분권은 비단 전북교육청 문제가 아니다”며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를 통해 이를 구체화 할 것임을 시사한 뒤 “올해 안에 국가교육위원회가 설립되면 꿈꿔 왔던 분권의 기틀이 마련되게 된다”고 기대했다.

김 교육감은 현 정부의 교육정책에 쓴소리도 냈다.

그는 “현 정부가 교육지방분권을 비롯 다양한 교육정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기대했지만 단 한 가지도 이뤄지지 않았다”면서 “교육에 대한 의지가 없다고 본다”고 비판했다.

이어 “교육불평등과 정시확대 등 이런 기조로 정부가 교육에 대해 무관심으로 일관해 왔다”며 “국가교육 방향설정을 위한 국가교육위원회에 일선 교사들이 참여하지 않은 것도 문제로, 교사들이 많이 참여해야한다”고 조언했다.

김 교육감은 코로나19시대에 새롭게 추진되는 교육정책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현재 일선 학교의 원격수업은 구글클래스나 줌 등을 통해 이뤄지고 있는데, 이를 대체할 새 플랫폼을 언급했다.

그는 “올해 2월 말에 쌍방향 원격수업지원을 위한 화상수업 서비스 ‘온 더 라이브’가 개통된다”며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을 통해 다양한 수업과 학생 맞춤형 피드백이 가능해져 학습격차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코로나19라는 재난 속 ‘지구살리기’ 차원의 환경교육을 강화할 것이라고도 했다.

그는 “인간의 탐욕이 불러온 기후 위기와 환경 파괴를 멈추기 위해 교육과정과 연계한 환경교육에 힘쓰겠다”며 “학생들이 자연과 공생하고 평화롭게 살아가도록 환경 감수성을 기르는 일에 힘쓰겠다”고 약속했다

김 교육감은 또 초중등 기초학력 보장을 위해 보조교사 250명 확대와 기초학력 마중물 학교 20곳을 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그는 현재 인터넷과 미디어에서 혐오 표현이 뿌리를 뻗어나가는 것을 우려했다.

김 교육감은 “차별과 폭력을 낳고 공동체 의식을 약화하는 혐오 표현 대신 학생들 삶에 존중의 언어가 뿌리내릴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교육하겠다”며 “미디어를 올바로 읽고 비판적으로 해석하는 미디어 문해력 향상에도 힘쓰겠다”고 약속했다.

아울러 학교 자치 완성과 도시·농촌이 상생하는 교육 생태계 구현, 보조 교사제 확대, 청소년 복합문화공간 확충 등을 약속했다.

김 교육감은 “교육은 기다림에서 시작하고 전북교육의 힘찬 박동은 계속될 것“이라며 ”올해도 아이들을 살리는 교육, 교육 가족의 삶을 변화시키는 교육을 위해 묵묵히 또 한 걸음 나아가겠다”고 약속했다.

지난해와 최근 불거진 일선 사립학교들의 성적조작 문제와 학교내 음주, 교사 간 불륜 등 공직복무 및 기강해이에 대해서는 유감표명을 한 뒤 “전북교육 구성원들의 도덕성과 자정능력을 신뢰하지만 공직복무해이에 대한 관리와 감독을 철저히 하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김승환 전북도교육감 “남은 임기 동안 교육지방분권 기틀 마련할 것”
백세종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2035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50∼60%' 또는 '53∼60%'로

군산군산시, 체납차량 야간 영치 단속 실시···고질·상습 체납 17대 적발

군산전북에서 가장 오래된 콘크리트 다리 ‘새창이다리’ 존폐기로

전시·공연부안여성작가 13명, 30일까지 제9회 단미회展 ‘Art Memory’

부안김양원 부안발전포럼 대표, 22일 「통쾌한 반란,함께 만드는 내일」 출판기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