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7일 본격적인 딸기 유통 시기를 맞아 주요 6품종의 수확 뒤 처리 기술 적용 결과를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딸기 수확 뒤 품종별 특성을 고려한 처리기술을 적용해 유통과 소비과정에서 딸기 품질을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알리기 위해 진행했다.
연구 결과 딸기를 수확한 뒤 품온(농산물이 가진 온도)을 떨어뜨리기 위해 예비냉장(5도, 3∼5시간)을 거쳐 저온(5도) 보관했을 때, 상온(20도)에서 보관했을 때보다 상품성 유지 기간이 최대 3배 늘어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금실’ 품종 상품성 유지 기간이 12일로 가장 길었고, ‘산타’, ‘숙향’, ‘아리향’ 품종은 10일, ‘설향’은 9일, ‘킹스베리’는 6일 가량 상품성이 유지됐다.
또 물러짐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산화탄소를 30% 농도로 3시간 처리한 결과, 대부분 품종에서 경도가 1.4~2배 증가했다.
가정에서는 딸기를 플라스틱 용기에 담고, 용기째 비닐로 한 번 더 감싸 냉장고에 보관하면 곧장 냉장고에 보관할 때보다 2∼4일 더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다.
농진청 원예특작과학원 관계자는 “농가와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에서는 품종별 유통 기간을 고려해 출하해야 한다”며 “앞으로 기능성 용기나 부패 미생물 제어를 위한 동시 복합 처리기 등 기술을 개발하고 보급해 딸기 상품성을 높이겠다”고 전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