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도내 2019년 68만 7000명(39.0%)에서 2020년 68만 8000명(39.1%)으로 0.1%p 증가
전북 도내 중·장년층 인구가 1년새 1000명이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중·장년층(만 40~64세) 행정통계에 따르면 전국의 중·장년층 인구는 2008만 6000명으로 전년 대비 10만 7000명(0.5%) 증가했고 총인구 대비 40.1%를 차지했다.
성별로 남자는 50.2%, 여자가 49.8%를 차지했고 연령별 비중은 50대 초반(21.1%), 40대 후반(20.9%), 50대 후반(20.4%) 순으로 나타났다.
2020년 10월 기준 4대보험에 등록된 중·장년층 취업자 수는 1304만 1000명으로 중·장년층 인구의 64.9%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임금근로자가 77.7%, 비임금근로자 18.4%, 임금근로와 비임금근로 병행이 4.0%로 나타났다.
월 평균 임금수준은 296만원이고 남자에 비해 여자의 임금수준이 낮으며 연령별로는 60대 초반의 평균임금이 가장 낮았다.
2020년 11월 기준 중·장년층의 주택소유 비중은 43.1%로 전년(42.6%) 보다 0.5%p 상승했다.
금융권 대출 잔액이 있는 중·장년층은 56.5%로 전년(56.3%) 보다 0.2%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적 및 퇴직연금에 가입 중인 중·장년층은 75.3%로 전년(74.6%) 대비 0.7%p 상승했다.
중·장년층의 가구원 수는 2인 가구가 366만 5000가구(27.7%)로 가장 많았고 3인 가구(25.8%), 4인 가구(21.0%) 순으로 평균 가구원 수는 2.7명이었다.
전국 시도별로 중·장년층 인구 통계를 보면 전북 등 13개 지역에서 증가세를 보였으며 서울 등 4개 지역은 감소했다.
전북은 2019년 68만 7000명(39.0%)에서 2020년 68만 8000명(39.1%)으로 1000명(0.1%p)이 소폭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도내 중장년층의 가구원수는 2인이 14만 6000명(31.6%)으로 가장 많았고 3인이 11만 1000명(24.0%)으로 뒤를 이었다.
월 평균 임금수준은 265만원이었고 남자에 비해 여자의 임금수준이 낮으며 연령별로는 60대 초반의 평균임금이 가장 낮았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