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mro 발전방향과 연계해 군산조선소 특화해야
한국형 경항공모함 사업 천문학적인 경제효과 기대
내년부터 추진되는 한국형 경항공모함 사업과 항공·함정MRO 사업이 군산조선소의 제2도약을 이끌 수 있도록 치밀한 사전준비 작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아직 시작 단계인 이들 사업은 군산항에 조성되는 특수목적선 선진화단지는 물론 현대중공업과도 관련성이 높다.
22일 국회에서 열린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뉴딜형 친환경선박 대응전략 세미나’의 내용을 종합하면 이들 산업은 조선은 물론 항공사업까지 아우른다. 특히 최첨단 기술력과 많은 인력 시간을 요구하는 만큼 막대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
이중 가장 관심을 끄는 것은 현대중공업이 주도하는 한국형 경항공모함이다. 아직은 개발·설계 단계에 있는 3만 톤급 경항공모함이 군산조선소에서 건조되면 이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는 전북 전역에 미칠 전망이다.
실제 추산된 경제파급효과는 약 7조8142억 원으로 고용인원만 5만5000여 명을 필요로 한다.
전북의 경우 새만금 국제공항과 연계하면 항공MRO와 함정MRO, 경항공모함 건조라는 세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지정학적 요건을 갖추고 있다. 기업 입장에서도 호주와 같이 건조부터 정비까지 원스톱 플랫폼 체계가 마련될 수 있어 이점이 상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이날 세미나에 김정수 해군참모총장과 국방위원회 대표 중진인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의원 등이 높은 관심을 보인 것도 이러한 배경 때문이다.
군산조선소 재가동의 키를 쥐고 있는 현대중공업이 이 분야에서 선두주자라는 점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군산조선소가 재가동 하더라도 일부 블록배정이나 땜질식 처방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게 중론인 상황에서 차세대 미래산업인 경항모와 함정·항공MRO산업을 유치할 경우 다시 조선소가 문을 닫을 가능성도 훨씬 적어진다.
현대중공업은 올해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영국 밥콕사(社)등과 파트너 십을 맺고 경항모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함정 분야에서 KAI는 전투기 분야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노하우를 가지고 있다. 아울러 현대중공업은 한국 해군의 ‘차세대 이지스함’ 건조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군산조선소가 제 역할을 해줄 수 있을지가 전북 입장에선 관건이다.
현대중공업에서 개념설계를 진행한 한국형 경항공모함사업은 지난 3일 국회 본회의에서 예산이 통과되면서 내년에 예정대로 기본설계에 착수할 계획이다. 정부와 현대중공업은 오는 2033년 전력화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경항공모함 외에도 친환경 특수목적 선반이 군산항에서 유지·관리가 이뤄지면서 새만금과 연계한 새로운 전략이 도출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선결조건은 새만금 트라이포트 구축으로 이러한 계획이 현실화하면 항상 후발주자를 면치 못했던 군산항과 군산조선소가 퍼스트무버로서 주목받을 수 있다.
조민호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전북본부장은 “군산은 49k㎡의 산업단지를 보유한데다 선박부품 등 다양한 업종이 집적돼 폭 넓은 전후방 연계가 가능한 선진산업에 적합한 이점을 버유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