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자재 가격 파동으로 전북 건축허가 면적 지난 해보다 30% 이상 감소
반면 건축설계 업체는 지난 2017년 376개에서 해마다 증가 24% 늘어 469개 업체
일감에 비해 업체수가 많다보니 짜디 짠 설계대가’에 속병
전북지역 건축설계 업계가 일감 부족과 짜디 짠 설계대가로 속병을 앓고 있다.
원자잿값 급등으로 이윤이 줄면서 설계비 지급이 지연되고 있는 것도 경영난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건축설계 일감이 줄어든 것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건설자재가격이 크게 올라 건축주들이 건물신축을 미루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설계업체는 해마다 늘면서 과잉경쟁으로 설계단가는 10년째 제자리에 머물러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12일 전북도가 집계한 도내 건축허가는 지난 3월 말 기준 41만2504㎡로 지난 해 같은 기간 59만3258㎡에 비해 30.5%가 감소했다.
하지만 도내 건축설계 사무소는 지난 2017년 376개에서 해마다 증가해 5년만에 24% 늘어 469개 업체로 나타났다.
건축허가는 줄어든 반면 업체 수는 난립하다보니 적정 설계비를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
민간 시행사가 주관하는 주택사업의 경우 3.3㎡당 5만원 수준으로 물가는 기하급수적으로 상승 했지만 설계비는 10년 전 보다 낮아졌고 도시재생사업의 경우는 이마저도 받지 못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지만 설계비 지급은 항상 차 순위로 밀리고 있고 원자재 부담이 커질수록 이 같은 현상이 더욱 심화되고 있어 시행업체와 분쟁을 격고 있다.
실제 도시재생 사업을 전문적으로 수주했던 전주지역 설계업체는 외상 설계비만 해도 수십억 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 설계사들은 설계비를 떼일 가능성이 적은 공공 설계, 감리 물량을 기존에 수주했기에 버틸 여력이 있는데다 법무 팀까지 갖춰져 있어 설계비 미지급에 대응이라도 할 수 있지만 전북지역 업체들의 경우 대응방안이 없는데다 지역사회다보니 법적조치를 한다는 게 마땅치 않아 속병만 커지고 있다.
일부 설계용역의 경우 최저가 방식으로 입찰이 진행되면서 저가 수주에 따른 부실 설계마저 우려되고 있다.
전북지역 건축 설계업계 관계자는 “설계단가가 갈수록 낮아지면서 사무소를 운영할 수 없어 보따리 장사 형식으로 사무실도 없이 혼자 건축설계를 맡는 경우도 있다”며 “예산을 아끼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저가수주에 따른 부실이 우려되고 있어 현실적인 설계비 책정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