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7년부터 10여개 불과한 외지건설사 수주금액이 도내 1000여개 종합건설사 전체 수주금액 추월
아파트 같은 대형 민간공사는 이미 외지업체 잠식 오래되면서 지역 업체들은 설자리를 잃고 고사위기
대형공공공사와 민간공사를 외지업체들이 잠식하면서 하도급 업체들도 외지 협력업체 일색...지역업체는 하도급 받기는 바늘구멍
‘글로벌 생명 경제도시’를 표방하고 있는 전북특별자치도 출범 원년을 맞아 지역경제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설 분야 활성화에 대한 기대가 모아지고 있지만 현실은 정반대 상황이다. 아파트 같은 대형 민간 공사는 외지업체가 이미 잠식했고 공공공사마저 몇 안 되는 외지 대형업체가 도내 전체 건설사들의 수주실적을 추월한지 오래다. 도내 종합건설사 10개 중 4곳은 지난 해 공공공사를 단 한 건도 수주하지 못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고금리와 물가상승으로 비용부담이 커지고 있고 금융권 문턱마저 높아져 자금 확보도 갈수록 어려워지면서 어쩌면 올해가 가장 처절하고 참혹한 해로 기록될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전북지역 건설사들 사이에서 법과 원칙에 따라 지역건설사들의 자기 몫 찾기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면서 지역건설이 활력을 찾는 계기가 될 수 있을지 주목받고 있다.
새해를 맞아 도내 건설업계의 현재 상황과 어려움을 겪고 있는 원인 등을 짚어보며 활성화 방안을 세 차례에 걸쳐 모색한다.
새만금 관련 사업 등 기술형 입찰로 진행되는 대형공사를 외지 대형 건설업체들이 독차지하면서 10여개에 불과한 외지 건설업체들의 수주실적이 1000개사가 넘는 도내 종합건설사들의 수주실적을 추월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건설협회 전북도회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6년 만 해도 전북에서 발주된 전체 공공공사 1150건, 1조 2065억 원 가운데 도내 업체들의 수주실적이 8439억 원이며 외지업체들은 1833억 원에 불과했다.
하지만 새만금 방조제 공사와 동서 2축 공사 등 새만금 관련 대형공사가 발주되면서 지난 2017년 전체금액 1조8965억 원 가운데 도내 업체 수주실적은 8147억 원인 반면 외지업체들은 8531억 원을 수주해 지역업체들의 수주실적을 추월했다.
계약금액만 무려 4363억 원에 달하는 새만금 방조제 공사의 경우 지역업체 참가가 전무했고 동서2축 도로공사에도 지역업체 참가비율이 10~15%에 그쳤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이후 새만금 특별법 개정으로 지역업체 우대기준이 마련되면서 기술형 입찰에 지역업체 참여가 늘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지역건설업계가 요구하는 30%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공동계약으로 대형공사에 참여한 지역업체들도 일정지분을 가지고 있지만 직접 시공에는 참여하지 못하고 있고 법에 명시된 공동수급 협정서도 작성되지 않아 지역업체들은 해당공사에서 얼마만큼 이익이 났는지 손해가 발생했는지 조차 알 수 없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지역업체들의 대형공사 참여기회를 통한 기술력 향상이라는 공동도급의 취지는 사라진지 오래고 지역업체들은 대형업체들이 적격심사에서 가점을 받기위한 도구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새만금 사업 관련 지난 2008년부터 전북업체들이 수주한 금액은 1조 982억 원으로 나타났지만 이익은 커녕 손해를 보는 경우가 많아 지역경제 유발효과는 극히 저조한 실정이다.
아파트 같은 민간 공사 현장도 마찬가지다.
국토교통부 집계에 따르면 지난 해 전북에 공급된 공동주택은 6632가구에 달하지만 대부분 외지 대형 건설업체에 의해 시공되고 있다.
전북업체가 시공한 현장은 전주 삼천동 신원 리브웰 499세대와 남원오투그란테 퍼스트시티 499가구, 전주 서신동 플러스리버하임 164가구 등 1200여 가구에 그치고 있다.
새해들어서는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
올해 들어 전주 서신샵 비발디 1914가구를 비롯해 전주에코시티 더샵 576가구, 익산부송4지구 511가구, 익산 두산위브 591가구, 익산 중앙동 주상복합 741가구, 전주 종광대 2구역 530가구, 전주 기자촌 2226가구 등 총 7089가구가 분양에 나설 계획이지만 지역건설업체가 시공을 맡게 된 곳은 단 한 군데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공을 외지업체가 맡다보니 전문건설과 설비건설 같은 하도급업체들은 일감부족으로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
전북도가 하도급 전담팀을 구성해 전문건설협회와 합동으로 외지 대형 건설업체들을 상대로 지역업체 하도급 확대를 꾸준하게 요청하고 있지만 여전히 외지업체로 구성된 협력업체 위주로 하도급 계약이 진행되고 있으며 지역업체들이 공사를 도급받기는 바늘구멍이다.
외지대형건설업체들이 지역경제 발전이나 지역업체들의 기술력 향상에 대한 기여는 없이 전북에 와서 돈만 벌어가고 있다는 비난을 받고 있는 이유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