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오목대] 인터넷 효도

‘진자리 마른 자리 갈아 뉘시던’ 어버이의 사랑과 노고는 이 세상 그 어느것보다도 지고지순(至高至純)한 가치를 지닌다. 그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제정된 날이 ‘어버이 날’이다. 그러나 1년중 단 하루(5월 8일) 행사로 충분한 보은의 기회를 충족시켰다고 보기는 어렵다. 계산이 없는 부모의 가이없는 사랑은 1년 3백65일 계속돼도 모자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효(孝)는 ‘老’자와 ‘子’자가 합해진 글자이다. 나이 들어 늙은 어버이를 자식들이 받들고 섬겨야 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효경(孝經)에는 ‘사람의 행실에 있어서 효보다 큰 것이 없다’했고 그래서 공자는 효를 천륜(天倫)으로 행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기도 하다. 우리 전통사회에서 아직도 유교적 가치관이 뿌리 깊이 전해져 내려오는 것중 바로 이 효사상은 으뜸이다.

 

그러나 오늘날 많은 자식들은 효도의 방법을 용돈을 드리는 것 정도로 떼우려 드는 경향이 있다. 노인정에 나가 장기나 바둑판에 앉아 무료함을 달래는 부모들의 지루한 하루일과에 시선을 돌리는 젊은 세대는 그리 흔치 않다. 많은 나이 든 어버이들이 남아도는 여가로 고통을 느끼고 있는 현실을 외면하고 있는 것이다.

 

부모에게 새로운 취미를 찾아 주는 일은 좁게는 그 부모의 여가를 위해서, 넓게는 사회에 공헌하는 기회도 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실버사회’의 도래가 현실화한 지금 범정부 차원의 노인대책중 키워드가 바로 이 대목임에도 정작 자신들의 관심은 이에 못미치는 것 같아 안타깝다.

 

마침 서울의 모 대학 교수가 인터넷을 통해 효사상을 일깨우기 위해 ‘스위트케어닷컴’을 어버이날을 맞아 개설했다고 한다. 이 사이트는 기존의 동호인 모임이나 쇼핑몰 중심이 아니라 ‘현대적 의미의 효’를 실천하기 위해 부모를 모시는 20∼30대에 필요한 노인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고 한다. 이 중에는 여가 정보를 담은 ‘신나는 노후(老後)’라는 콘텐츠도 있다니 관심을 끌만하다. 바야흐로 효도도 인터넷이 선도하는 시대가 온듯 하다.

 

전북일보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국회·정당국회 산중위 전북정치권 공백…AI·에너지 현안 출혈 불가피

국회·정당국회, 내년도 예산안 종합정책질의 시작

사람들데이터로 도시를 짓다…전북 건축문화상 학생부문 대상 전주대 박인호 학생

정치일반李대통령, 울산 매몰사고 “인명구조에 가용자원 총동원하라”

정치일반전북, 1조 원대 ‘피지컬 AI’ 상용화 사업 전 실증사업 마무리 총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