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전주시 덕진동의 한 개방화장실. 입구에 들어서자 바닥에 흩어져 있는 청소도구가 눈에 띈다. 두개의 소변기 가운데 하나는 이미 오래전에 고장난 상태였고, 쓰레기까지 수북이 쌓여 있다. 전동의 또다른 개방화장실도 사정은 마찬가지. 취객들의 구토 흔적이 실내를 가득 채운 악취와 함께 이른 아침부터 이 곳을 찾은 이용자들의 눈살을 찌푸리게했다.
전주시가 지난 1999년부터 도입한'개방화장실'이 겉돌고 있다. 상당수 개방화장실의 관리가 부실하게 이뤄지고 있는데다 건물주들도 개방화장실을 감당하기 힘들다며 잇따라 포기의사를 밝히는 등 시민들의 편의를 위한다는 개방화장실의 취지가 퇴색되고 있다. 특히 관계당국은 개방화장실 지정이후 사후관리를 외면, '용두사미식 행정'이라는 비난을 자초하고 있다.
전주시에 따르면 시민들의 편의를 돕고 월드컵 등 대규모 국제행사를 대비하기 위해 유동인구가 많은 도로변이나 버스정류장 부근의 개인건물 화장실(덕진구 38·완산구 40)을 개방화장실로 지정했다.
그러나 개방화장실 이용자 가운데 상당수가 '내 것이 아니다'라는 생각에 시설과 비품을 함부로 사용하는 등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특히 야간의 경우 이용자들이 술에 취해 거울이나 세면대를 부수거나 화장지등 비품을 훔쳐가는 경우가 많아 성숙한 시민의식이 아쉽다는 지적이다.
이와함께 일부 건물주들는 일손이 부족하고 관리가 어렵다며 화장실 개방시간을 단축하는 등 무성의로 일관하고 있다.
이처럼 개방화장실 운영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은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위치한 개방화장실의 특성상 이용자들이 많아 관리가 어려운데도 건물주들에게 마땅한 지원책이 없기 때문. 실제로 완산구청의 경우 연간 1천8백만원을 분기별로 40곳에 지원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곳당 지원금이 한달에 4만원이 못되는 실정이다.
한 개방화장실 건물주는 "청소부담이 늘어나는 것은 물론 외부인들의 잦은 출입으로 인해 시설이 파손되는 등 손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다”면서 "공익을 위해서 개방화장실 지정에 동의 했지만 솔직히 일정액의 지원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구청관계자는 "구청의 열악한 지원 등을 이유로 지난해에만 6곳이 개방화장실 지정에 대한 동의를 취소했다”며 "이에 동참하는 건물주들이 더 늘어날 것 같아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지원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지만 예산증가 계획이 없어 현재로서는 뚜렷한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고 덧붙였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