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오목대] '트리플 크라운'

6살때 일본으로 건너가 뛰어난 집중력과 정확하고 빠른 수읽기를 바탕으로 일본 바둑계를 평정한 한국인 기사 조치훈은 많은 기록을 쌓아 올렸다. 그 가운데서도 4차례나 차지한 ‘대삼관(大三冠)’은 일본 최초및 현재까지의 최다 달성 기록이다. 대삼관은 일본 기전 랭킹 1위 기성(棋聖), 2위 명인(名人), 3위 본인방(本因坊)등 3개 타이틀을 동시에 차지하는 기사를 일컫는 최고의 영예스러운 호칭이다. ‘목숨을 걸고 바둑을 둔다’는 그의 불굴의 정신과 집념이 일궈낸 대위업이다.

 

스포츠 분야에도 3개 부문을 동시에 차지하는 3관왕(三冠王)이 있다. 영어로 ‘트리플 크라운(triple crown)’으로 표기되는 이 용어는 미국의 경마에서 유래됐다. 1930년 경주마인 갤런트 폭스(Gallant Fox)가 미국의 3대 경마레이스인 켄터키 더비, 벨몬트 스테이크스, 프리크니스 스테이크스 대회에서 우승한데 이어 8년뒤 그 말의 새끼인 오하마가 다시 3개 경주에서 우승하자 당시 한 스포츠 기자가 ‘트리플 크라운’으로 기사화했는데 이 단어가 한 해에 3개 경주에서 우승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로 굳어졌다.

 

그뒤 경마용어에 그치지 않고 야구, 배구, 축구등 인기 스포츠등에서 사용되었다. 야구의 경우 투수는 방어율·다승·탈삼진 3개 부문을, 타자는 홈런·타율·타점의 3개 부문을 동시에 석권하는 것을 가리킨다. 한국에서는 1984년 삼성의 이만수가 타자부문에서 처음으로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

 

배구에서는 후위공격·서비스·블로킹등 3개 부문에서 각각 3점 이상 득점해야 트리플 크라운으로 기록되며, 프로축구에서는 보통 한 팀이 정규리그와 리그 컵,각 나라의 컵, 지역별 챔피언스 리그 가운데 3개 대회를 석권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들어 트리플 크라운은 다른 분야에서도 달성하기 힘든 3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했을 때 사용된다. 지난주 전북도의 현안 가운데 하나인 새만금 군산지역이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서 올해 전북도정이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 하여 화제가 되고 있다.올해 도정의 3대 역점 사업인 현대중공업 유치와 새만금및 태권도공원 특별법 제정에 이은 또 다른 낭보인 셈이다. 낙후지역이라는 오명을 씻을 도약의 발판을 마련한 것이다. 전북이 환황해권 중심지로의 비상(飛翔)의 날개를 활짝 펴길 기대한다.

 

전북일보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외교 ‘강행군’ 여파 속 일정 불참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전주시 6시간 28분 49초로 종합우승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통산 3번째 종합우승 전주시…“내년도 좋은 성적으로 보답”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종합우승 전주시와 준우승 군산시 역대 최고의 박빙 승부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최우수 지도자상 김미숙, “팀워크의 힘으로 일군 2연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