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자료, 장례용품 폭리 운영등 시스템 개선 여론
과잉진료, 높은 항생제 처방률, 제왕절개 분만율 과다, 낮은 장애인 고용의무비율 등 전북대병원 운영이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같은 사실은 전북대병원이 국회 김춘진·심재철 의원에게 제출한 국감자료에서 확인된 것으로 앞으로 적정 진료를 통해 지역 주민들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병원 운영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여론이 커지고있다.
국공립병원을 대상으로 최근 3년간 과잉진료 청구건수를 분석한 결과, 전북대병원은 지난 2007년 총 1만510건을 청구, 6억5038만7265원을 삭감당했다. 또 지난해에는 총 2만2550건을 과잉청구, 12억4280만3163원을 삭감당했으며, 올들어서도 상반기중 8933건을 과잉청구, 6억4837만644원이 심사과정에서 깎였다.
전국 국·공립병원을 대상으로 한 과잉조정 순위에서 전북대병원은 지난 2007년 전국에서 8번째로 많았으나, 지난해와 올해는 두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암 환자 등 중환자를 대상으로 의약학적인 적정기준을 초과해 진료하거나 검사를 행하는 과잉청구가 이처럼 많은 것은 전북대병원이 가뜩이나 질병으로 고통받고 있는 환자에게 경제적인 부담까지 가중시키고 있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더구나 도내 암 환자수는 2만895명에 달하고 있고, 10만명당 새롭게 발생하는 환자의 비율도 전국 시도중 4번째로 많은 실정이어서, 도내 대표 의료기관인 전북대 병원이 암 환자 등 중환자를 치료하면서 과잉진료를 줄일 수 있도록 근본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함께 전북대병원은 지난해 제왕절개 분만율이 57%로 강원대병원 29%, 서울대병원 35%, 충북대병원 45%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편이고, 항생제 처방율도 7%로 전남대병원 6.2%, 서울대병원 6.11%, 경북대병원 5.6%와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법으로 의무화돼 있는 장애인고용 비율(3%)에서도 전북대병원은 2007년 1.30%, 2008년 0.90%, 올해는 0.80%로 갈수록 후퇴, 국립대병원으로서 의무를 소홀히 하는게 아니냐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전북대병원을 비롯한 국립대병원 장례식장들의 장례용품 폭리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권영진 의원(한나라당)은 "국립대병원들이 구매단가보다 적게는 2배에서 8배 가까이 비싼 가격으로 장례용품을 유족들에게 판매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전북대병원은 구매단가 3만9900원짜리 목관2호를 15만원(3.76배), 23만300원짜리 수의6호를 73만원(3.17배)에 판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대병원은 지난해 39억8800만원(평균 건당 450만1129원)의 운영수익을 올려 국립대 장례식장 가운데 1위를 기록했으며, 평균 건당 수익의 경우 가장 낮은 부산대병원(16만6324원)보다 무려 27.1배나 높았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