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글ㆍ사진ㆍ영상ㆍ음원 제공 백과사전

2023년 완간 목표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분명히 오프라인 백과사전 시대는 저물고 있다. 그들이 떠난 자리에 '위키피디아'로 대표되는 전자사전이 차지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전자사전이 어느 날 난데없이 하늘에서 떨어진 선물은 아니다. 오프라인에서의 콘텐츠 구축 없이 전자사전만 홀로 존재하기는 힘들다.

 

따라서 가장 이상적인 백과사전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결합이라 할 수 있다.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신광섭)이 기획하는 '한국민속대백과사전' 편찬사업은 그 전형이라 할 만하다.

 

이 대백과사전 편찬사업은 현재 계획대로라면 오는 2023년에 완성을 고한다.

 

이 사업은 2006년에 전 5권으로 완간한 '한국세시풍속사전'을 필두로 최근 그 첫 성과물로 '무속신앙편'을 낸 '한국민속신앙사전'을 거쳐, '한국민속문학사전'ㆍ'한국일생의례사전'ㆍ'한국의식주생활사전'ㆍ'한국민속예술사전'ㆍ'한국생업기술사전'을 지나 '한국민속사회사전'에서 대망의 마침표를 찍는다.

 

민속박물관은 이만한 민속학 사전은 국내에서는 물론이고 외국에서도 전례가 없다고 자부한다.

 

하지만, 이 대백과사전이 최대 강점으로 내세우는 무기는 다른 데 있다. 바로 온라인과 결합한 백과사전이라는 점이다.

 

이미 발간된 사전은 물론이고 향후에 잇따를 사전 또한 제아무리 내용이 방대하다고 해도, 그것이 담을 수 있는 콘텐츠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특히 동영상이나 음원 자료는 수록할 수가 없다. 이는 온라인 시대에 오프라인 출판물이 안고 가야 할 숙명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은 이런 결함을 온라인과의 결합으로 제거했다.

 

예컨대 '한국세시풍속사전'에도 표제항목으로 들어갔고, 이번 '한국민속신앙사전' 중 맨 먼저 나온 '무속신앙편'에도 한자리를 차지한 '동해안별신굿'만 해도, 오프라인 사전에서는 관련 사진이라고 해 봐야 기껏 서너 장만 수록할 수 있었지만, 온라인(http://folkency.nfm.go.kr)으로 들어가면 사정은 딴판이다.

 

이 항목에는 관련 사진만 무려 5천144장이 제공되고, 굿 장면을 담은 동영상은 4편이 서비스된다. 그 뿐만 아니라 이 굿 공연에서 채록한 음원은 1편을 청취할 수 있다.

 

동영상만 해도 원판과 축소판 두 가지가 있어, "동해안별신굿으로 논문이나 책을 쓰고자 하는 사람은 이 원판 동영상을 참고해도 요긴할 것"이라고 민속박물관 천진기 민속연구과장은 말했다.

 

지금은 이렇게 구축 완료한 대백과사전은 박물관을 통해 서비스되지만, 조만간 인터넷 포털 사이트를 통한 대국민 서비스도 개시할 예정이다.

 

나아가 '한국세시풍속사전' 전 5권을 1권으로 압축한 영문판 사전도 준비 중이다.

 

신광섭 관장은 "우리가 시도하는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은 세계 백과사전 편찬사에서도 획기를 이루는 사업이라고 자부할 만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사건·사고경찰, 음주운전하다 SUV 들이받은 20대 조사 중

기획[우리 땅에 새겨 있는 역사의 흔적]화암사에 피어난 꽃

정치일반1조 2000억 인공태양 유치 시동…전북 민·관·학 손잡고 대장정 돌입

사건·사고군산 태양광 시설서 불⋯인명피해 없어

사건·사고흉기 들고 거리 배회한 60대⋯군산경찰 붙잡고 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