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을 앞 둔 한정아(28)씨는 적금 금리를 알아보고 앞으로의 내집 마련에 대한 꿈을 이룰 수 있을지 걱정이 앞선다. 예·적금 금리가 3%대에 있어서 종자돈을 마련하는데 이자율이 큰 장애가 될 것 같아 재무 계획을 어떻게 세워야 할지 고민이다. 목돈을 마련하거나 퇴직금 등을 은행에 맡긴 뒤 이자를 받아 생활하는 예금 생활자들이 느끼는 경기 체감온도는 영하에 가깝다.
은행들이 예금 이자를 낮추는 이유는 한국은행이 지난해 2월 기준금리를 연2.0%로 내린 이후 지금까지 이 금리를 유지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낮게 가져가다 보니 은행들도 예금 금리를 많이 줄 수가 없다. 또한 은행들이 돈 굴릴 데가 마땅히 없다는 데 있다. 여러 가지 경기의 불확실성 등으로 인하여 대출처가 마땅치 않은 상황이어서 예금 금리를 더 내릴 수도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저금리 시대에 목돈 마련을 위해 수익률을 높이는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조언을 구해 보았다. .
가정형성기에는 기본적으로 보장성 보험에는 소득의 10%정도 가입을 하여 각종 위험과 질병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정형성기에는 투자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단기 자금계획보다는 중·장기 계획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집 마련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주택청약 종합저축에 가입하여, 청약의 기회와 일반 적금보다 높은 예금수익률을 올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주택 구입을 위해서는 3년 계획, 5년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계획을 수립하여 저축액과 소비 지출은 어떻게 할 것인지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야 한다.
월 저축액을 산정했다면, 가정형성기에는 젊음이라는 투자시간이 남아 있으므로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투자 상품에 가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투자 상품인 우량 펀드 고르는 방법에 대해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된다.
제일 먼저 펀드는 단기 수익률과 중장기 수익률을 함께 봐야 한다. 따라서 단기 수익률과 1~3년 수익률이 모두 높은 펀드에 가입하는 것이 안전하다.
펀드의 수익률과 함께 시장민감도와 표준편차 등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표도 확인해야 한다. 시장 평균 이상의 등락을 보이는 펀드는 상승장에서는 큰 수익을 낼 수 있지만 하락장에 접어 들었을 때는 막대한 손실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수익률과 변동성을 따져봤다면 이를 바탕으로 펀드 포트폴리오의 밑그림을 그릴 수 있다. 전체 투자자산 중 절반 이상은 수익률이 조금 낮더라도 비교적 안정된 움직임을 보이는 펀드에 투자하고 나머지를 시장 평균 이상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펀드에 분산투자하는 것이다.
여러 가지를 살펴 본 다음에도 판단이 잘 안 선다면 운용사의 대표 펀드를 선택하는 방법이 있다. 펀드 운용사들은 마케팅을 위해서라도 대표 펀드에 정성을 쏟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이들은 다른 상품에 비해 높은 수익률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목표 수익률과 손실 하한선을 정해 높고 환매 기준으로 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저금리 시대, 투자 수익률을 높이는 방법은 복리의 효과를 최대한 이용하고 자산배분 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우는 것이 투자 손실을 줄이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