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금리가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신용대출 금리는 이미 2008년 금융위기 수준까지 높아졌다. 주택담보대출을 비롯한 전반적인 가계대출 금리도 고공행진 중이어서 대출 부실화에 대한 우려가 점차커지고 있다. 은행들의 지나친 대출금리 인상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거세지고 있다.
2일 은행권 및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5.81%였던 신규 신용대출 금리는 9개월 만에 무려 1.25%포인트나 뛰어올라 올해 9월에는 7.06%를 기록했다. 신용대출 금리가 7%대로 뛰어오른 것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2007년 6.72%였던 신용대출 금리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7.48%로 뛰어올랐다가 2009년 5.96%, 지난해 평균 6.01%로 급격히 낮아졌었다. 신용대출은 마이너스통장대출 등 일반신용대출과 집단대출로 나눠지는데, 일반신용대출 금리는 2008년(8.44%) 이후 3년만에 처음으로 8%대로 뛰어올라 9월 8.27%를 기록했다.
대출금리 상승은 가계대출 전반에서 나타내고 있다. 총 가계대출의 평균 금리는 지난해 말 5.35%였으나, 올해 9월 말에는 5.86%에 달해 9개월 만에 0.51%포인트나 뛰어올랐다. 2009년 말 4.85%, 지난해 말 4.71%였던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올해 들어 0.52%포인트나 뛰어올라 9월 말 5.23%에 달했다. 1억원의 주택대출을 빌린 사람이라면 52만원, 2억원을 빌린 사람이라면 104만원에 달하는 이자 부담이 더 늘어난 셈이다.
문제는 은행들의 지나친 대출금리 인상이 가계대출의 부실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통상 가계대출의 연체는 경기에 후행하는 속성이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는 2008년 말에 발생했지만, 가계대출 연체율이 급격히 치솟았던 시기는 6개월 후인 2009년 2분기였다. 연합뉴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