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북은행 예대마진 크다

경기 침체와 가계부채 증가에도 불구하고 은행들이 예대금리차(예대마진)를 늘려 서민가계와 중소기업의 채무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김영환 의원(민주통합당)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동안(2008년∼2012년 상반기) 전북은행이 6개 지방은행 가운데 예대금리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난 5일 국정감사에서 밝혔다.

 

전북은행의 평균 예대금리차는 3.98%p로 지방은행 평균(3.58 %p) 보다 0.40%p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전북은행의 예대금리차는 8대 시중은행 평균(2.90%)과 비교해 무려 1.08%p 높을 뿐 아니라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을 통틀어도 시티은행(4.09%)에 이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대금리차는 대출금리와 수신금리의 차이를 뜻하며 예대금리차가 크다는 것은 대출금리는 높게 받고 수신금리는 낮게 주고 있다는 말이다.

 

전북은행은 대출금리 또한 지방은행 중 가장 높은 7.13%를 기록해 지방은행 평균(6.68%)보다 0.45%p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출 중 가계대출금리 역시 7.55%로 지방은행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시중은행과 비교해도 시중은행 중 가장 대출금리와 가계대출금리가 높은 시티은행(6.36%·6.43%))보다 각각 0.77%p, 1.12%p나 높아 은행권 중 가장 대출금리와 가계대출금리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상대적으로 시중은행보다 영업망이 협소하고 대출에 따른 부실 리스크가 큰 지방은행 특성상 시중은행보다 대출금리와 가계대출금리를 각각 0.64%p, 0.83%p 높게 적용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도 전북은행의 예대금리차와 대출금리는 너무 높다는 지적이다.

 

반면 전북은행의 수신금리는 3.15%로 6개 지방은행 중 대구은행(2.70%)과 부산은행(2.86%)에 이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대조를 보였다.

강현규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김제김제시, 하반기 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사업 추진

부안부안군, 2026년 장애인 일자리 110명 모집…도내 군 단위 ‘최대 규모’

정치일반전문가들 "반도체·의약품 관세 우려 덜어…일부 보완 필요성도"

사건·사고'정당 당원 가입 강요' 원광대 총학생회 관계자 5명 송치

국제美 "한국산 車관세 15%로↓…반도체는 타국보다 불리하지 않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