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은행들 수익 줄자 사회공헌비 `싹둑'…3년새 60%

"수익 낮아지면 사회공헌비 가장 먼저 줄일 수 밖에 없다"

호황기 때 `돈 잔치'를 벌인 은행권이 수익이 줄어들자 사회공헌비부터 대폭 삭감했다.

이 때문에 독과점 지위를 활용해 막대한 예대마진(대출이자-예금이자)을 늘린 은행들이 `탐욕 관행'에서 여전히 벗어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는다.

은행들은 잘 나갈 때 배당액과 급여를 대폭 올렸다가 경제가 어렵고 자금 사정이 급해지면 국민 혈세에 의존하는 모럴해저드(도덕적 해이) 탓에 여론의 질타가 끊이지 않았다.

16일 은행권에 따르면 우리ㆍ국민ㆍ하나ㆍ외환 등 시중은행 4곳의 올해 사회공헌활동비 예상 액수는 2천317억원이다. 2009년 5천554억원의 41% 수준이다.

우리은행의 사회공헌활동비는 2009년 1천765억원에서 2010년 699억원, 지난해 578억원으로 각각 급감했다. 올해 예상 액수는 61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소폭 올랐다.

국민은행은 2009년 1천317억원에서 2010년 628억원, 지난해 858억원, 올해 예상 액수 850억원 등이다.

하나ㆍ외환은행도 2009년 2천864억원에서 2010년 856억원, 지난해 881억원, 올해 예상 액수 857억원으로 내려왔다.

올해 예상 액수를 아직 산정하지 못한 신한은행도 지난해까지 사회공헌활동비가 감소 추세를 보였다.

신한은행은 2009년 1천765억원을 사회공헌 활동에 썼지만 2010년 947억원, 지난해 673억원으로 액수를 줄였다.

다만 신용대출 학력차별 논란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탓에 올해 사회공헌비는 지난해보다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지만 자발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피하긴 어려워 보인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최근 은행의 사회공헌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높았던 탓에 올해 1∼3분기 사회공헌비가 이미 지난해 총액을 넘어섰다"고 말했다.

시중은행이 사회공헌활동비를 줄인 것은 저금리 기조와 예대금리차 축소로 수익성이 나빠졌다는 이유에서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금융위기 이후 은행 수익성이 악화일로에 있다. 수익이 줄어들면 광고비와 사회공헌비를 가장 먼저 줄일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은행의 올해 3분기 순이익은 2조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3천억원(12.5%) 줄었다.

지난해 3분기 3.01%포인트인 은행 예대금리차는 올해 3분기 2.75%까지 좁혀졌다.

사회공헌활동비를 대폭 줄인 은행권에 대한 국민의 시선은 곱지 않다.

성장이 잠시 주춤했다는 이유로 사회공헌비부터 줄인 것은 수익은 사유화하고 손실은 사회화해온 고질적인 병폐가 재현된 꼴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김제김제시, 하반기 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사업 추진

부안부안군, 2026년 장애인 일자리 110명 모집…도내 군 단위 ‘최대 규모’

정치일반전문가들 "반도체·의약품 관세 우려 덜어…일부 보완 필요성도"

사건·사고'정당 당원 가입 강요' 원광대 총학생회 관계자 5명 송치

국제美 "한국산 車관세 15%로↓…반도체는 타국보다 불리하지 않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