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21일 발표한 '2011년 다문화인구 동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다문화 혼인 건수는 3만695건으로, 전년대비 12.5% 줄어들었다.
다문화 혼인은 2008년 3만6천629건에서 2009년 3만3천862건, 2010년 3만5천98건으로 감소 추세를 보였다.
이는 국제결혼에 따른 부작용이 드러나면서 정부가 관련법 제·개정 등으로 규제를 강화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다문화 혼인이 줄면서 우리나라 전체 혼인(32만9천87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9.3%로 전년대비 1.5% 포인트 줄어들었다.
초혼 연령은 남성이 36.1세로 0.4세 낮아진 반면 여성은 26.6세로 0.4세 높아졌다. 초혼 연령차도 10.3세에서 9.5세로 줄어들었다.
다문화 혼인은 줄어든 반면 이혼은 전년보다 0.9% 증가했다.
이혼 건수는 2009년 1만3천653건, 2010년 1만4천319건, 2011년 1만4천450건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해 전체 이혼 건수(11만4천284건) 가운데 12.6%를 차지했다.
평균 결혼생활기간은 4.9년으로 한국인 간 평균 결혼기간(14.4년)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전년보다는 0.2년 증가했다. 2009년에는 4.1년, 2010년에는 4.7년이었다. 연합뉴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