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은행 가계대출 연체율 6년4개월 만에 최고

주택담보대출 연체율 1%, 신용대출 등 연체율 2% 육박

(서울=연합뉴스) 홍정규 기자 = 가계대출 연체율이 6년4개월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을 가리지 않고 전방위로 상승했다.

경기 침체 때문이지만 정부가 구제해주리란 기대감에 빚을 안 갚고 버티는 '도덕적 해이' 영향도 있어 보인다.

금융감독원은 지난달 말 은행권 가계대출 연체율이 한 달 전보다 0.05%포인트 오른 1.04%라고 28일 밝혔다.

2006년 10월(1.07%) 이후 6년4개월 만에 가장 높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지난해에도 8월과 10월 두 차례 1.01%를 기록해 1%를 넘었다.

가계대출 잔액 459조5천억원 가운데 312조원으로 비중이 가장 큰 주택담보대출은 연체율이 0.02%포인트 오른 0.96%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2006년 8월 1.03%를 기록한 뒤로 1%를 넘은 적이 없다.

주택담보대출 가운데 집단대출은 0.01%포인트 오른 1.99%로 2%에 육박했다. 집단대출은 아파트 분양자들이 중도금과 이주비 등을 집단으로 빌리는 것으로, 2010년 12월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후 가장 높다.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신용대출, 일반 부동산담보대출, 예금담보대출 등의 연체율도 1.21%로 한 달 전보다 0.13%포인트 상승했다. 신용대출 등의 연체율은 지난해 8월의 1.23% 이후 가장 높다.

권창우 금감원 은행감독국 팀장은 "체감 경기가 개선되지 않고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지속해 연체율이 올랐다"며 "은행들이 연체율 관리를 위해 연말에 대규모 상각·매각을 한 데 따른 계절적 요인도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금융권 일각에선 연체율이 아직 심각한 수준은 아니지만, 국민행복기금 등 새 정부의 연체 채무자 구제 대책이 연체율 상승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준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기업대출은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잔액이 꾸준히 늘었다. 중소기업대출은 1월과 2월에 3조2천억원과 3조7천억원씩 늘어 잔액이 468조2천억원이다. 정부가 중소기업 육성을 중시하면서 자금공급을 조기 집행하려 하는 것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1.45%로 1월 말보다 0.11%포인트 상승했다. 건설업(2.68%), 부동산·임대업(2.10%), 조선업(1.90%) 등의 연체율이 여전히 높았으며 특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율은 6.66%에 달했다.

권 팀장은 "일시적으로 유동성이 부족한 대출자는 만기를 연장하고 장기분할 상환하는 '프리워크아웃(사전채무조정)'을 유도하겠다"며 "은행들이 부실채권을 조기에 정리하도록 독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군산“기초의원 다치면 ‘두번’ 챙긴다”···의원 상해보상 ‘겹치기 예산’

자치·의회서난이 전북도의원 “전북자치도, 금융중심지 지정 위해 분골쇄신 필요”

자치·의회최형열 전북도의원 “지사 발목 잡는 정무라인, 존재 이유 의문”

사건·사고‘남원 테마파크 사업 뇌물 수수 의혹’⋯경찰, 관련자 대상 내사 착수

국회·정당도의회, 전북도 2036올림픽추진단 올림픽 추진 업무 집중 질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