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 부당계약 취소 요구 묵살해 고발
전주지역 신협과 새마을금고의 불법대출 사건은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이었다. 금감원 특별조사와 경찰의 수사가 개시되기 이전 이미 대출 피해자들이 신협과 새마을금고 측에 부당대출 계약 취소를 요청한 바 있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에 A여행사를 비롯한 피해자들은 금감원 감사 요청은 물론 경찰 수사를 의뢰했고 현재 의혹을 규명하기 위한 절차가 진행 중에 있다.
지난 2월 28일 3개 관광회사를 인수한 A관광회사 Y대표는 회사 서류들을 정리하다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 회사 소유 관광버스 차량에 상상조차 못할 과도한 설정 금액이 붙어 있는가 하면 다른 관광회사에 자신의 관광버스를 양도하는 등의 허위서류가 가득했기 때문이다. Y대표는 자신의 회사 소속 모든 차량에 대한 조사를 시작함과 동시에 동종 피해 관광회사 4곳에 대한 실태 파악에 나섰다. 그 결과 불법으로 보이는 대출금액이 A사에서 14억5740만원, B사 63억8100만원, C사 24억2000만원, D사 51억2000만원, E사에서 275억원이 집행된 사실을 찾아냈다.
이 금액 모두 대부업 무등록자인 S씨를 비롯한 K씨, 또 다른 S씨 일당이 대출을 중계한 사실도 추가로 밝혀냈다.
이후 Y대표는 지난 3월15일 전주 S신협과 B신협을 차례로 방문, 이사장과 대출담당을 만나 이 같은 부정 대출이 이뤄지게 된 배경을 추궁하고 모든 것을 원상태로 돌려놓지 않을 경우 사법처리 하겠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또 방문 당시 B신협을 찾았던 대출브로커 S씨에게도 동일한 내용을 고지하고 피해금액의 전액 처리를 요구했다.
하지만 신협 등에서는 어떠한 조치도 없었고 S씨는 그 뒤로 연락이 끊긴 채 잠적하는 등 사태만 더욱 커졌다.
Y대표는 "당시 손실 부문만 제대로 처리되면 문제 삼지 않으려고 했지만 은행 관계자들이 말로는 정작 자신들의 잘못을 인정하면서도 서류상에는 문제가 없다는 모습을 보였다"며 "그래서 금감원과 사법기관에 고발을 하게 됐고 아직도 은행 측에서 지속적인 협의 요청을 해오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당시 각각의 은행 관계자들을 찾아 항의했고 또 이 과정에서 은행 관계자들이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대목도 다 녹취가 돼 있다"며 "이들 은행은 피해자들의 구제는 뒷전으로 자신들이 빠져 나갈 궁리만 하고 있어 이 기회에 제2금융권의 고질적 병폐를 잡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