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표준지 공시지가 신뢰성 의문

도내 실거래가 반영비율 4년간 6.1%P 하락 / 땅값은 상승세 이어져…지역간 편차도 커

전국의 토지값이 지난 2009년 이후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는 반면 주요 도시 토지의 공시지가에 대한 실거래가 반영비율은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시지가에 토지 실거래가 반영비율이 들쭉날쭉 낮게 책정되는 등 공시가격제도의 신뢰성에 의문이 일고 있다.

 

9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이노근 의원(새누리당·서울 노원갑)이 국토교통부로 부터 제출받은 '공시가격 지역별 실거래 반영률'에 따르면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 실거래가 반영비율은 2009년 62.1%에서 2012년 59.9%로 떨어졌다.

 

이는 토지값이 2009년 0.587%에서 2012년 0.335%로 4년 연속 상승세를 보인 반면 표준지 공시지가는 오른 시세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전북의 경우 표준지 공시지가 실거래가 반영비율이 2009년 71.3%, 2010년 64%, 2011년 62.4%, 2012년 65.2%로 4년간 6.1%P가 하락했다.

 

전국 16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공시지가 실거래가 반영비율이 떨어진 도시는 22곳으로 나타났고 유일하게 경기, 강원, 충북, 제주만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표준 공시지가 시세 반영률도 지역 간 편차가 컸다. 2012년 기준 광주의 경우 73.6%를 기록한데 반해 울산의 경우 52.9%를 보였다.

 

이와는 별도로 전국 모든 토지의 올해 개별공시지가 지가총액은 총 3157만8711필지에 3879조 8062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북의 지가총액은 259만5937필지 72조 8404억원으로 조사됐다.

 

전북에서 개별공시지가가 가장 높은 곳은 전주 완산구 고사동 금강제화 부지로 3.3㎡(1평)당 685만원을 기록했고, 가장 낮은 곳은 남원시 주생면 내동리 산으로 3.3㎡당 124원을 기록했다.

 

이노근 의원은 "같은 가격대의 부동산이라면 현행 부동산 가격고시 체제에서 공동주택 보유자가 토지 보유자보다 더 세금을 많이 내는 등 불리하다는 의미"라며 "땅값이 오르는데 시세 반영률을 맞추지 못하는 것은 전형적 탁상행정으로 조세와 보상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지적했다.

이강모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읍정읍 내장산 가을 단풍 물들다…"다음 주중 절정 예상"

정읍윤준병 국회의원, 정읍역 광장 재구조화 사업 구상 제시

사회일반전북 112 거짓신고 매년 증가⋯"처벌 강화해야"

법원·검찰檢총장대행 이례적 입장문…"대장동 항소안하는게 타당…제결정"

자치·의회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 경쟁…전북 '불리론'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