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LH 아파트 복지관 석면 '범벅'

전북 8개 영구임대단지 9곳 / 평균 38%…교체 예산 없어

전북지역에 소재한 한국토지주택공사(LH) 영구임대아파트 단지 내의 사회복지관과 경로당 등의 시설에서 발암물질인 석면이 검출됐다. 이에 따라 이용객들의 석면노출에 따른 질병 예방을 위해 해체를 비롯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일 새정치민주연합 김윤덕 국회의원(전주 완산갑)이 LH에서 받은 ‘영구임대아파트 내 사회복지관 등에 대한 석면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북지역 8개 단지 9곳의 사회복지관 총 면적의 평균 38%에서 석면이 검출됐다.

 

LH는 지난 2012년 석면안전관리법이 제정·시행됨에 따라 영구임대아파트 단지 내 연면적 500㎡ 이상의 건물에 대한 석면조사를 시행하고 있다. 전북에서는 지난 1월부터 3월말까지 8개 단지 9개 건물에 대해 조사가 이뤄졌으며, 이들 건물에는 사회복지관, 경로당, 어린이집 등이 입주해 있다.

 

단지별 사회복지관의 연 면적 대비 석면 검출률을 보면 전주평화4단지가 49.8%로 가장 높았으며, 익산동산 47.1%, 익산부송1단지 44.5%, 군산나운 39.4%, 전주평화1 A복지관 36.1%, 김제검산 34.6%, 전주평화1 B복지관 34.6%, 남원노남 31.8% 등이었으며, 정읍수성1단지 내 사회복지관이 25.2%로 가장 낮았다.

 

문제는 이처럼 다량의 석면이 주민들이 이용하는 시설에서 검출됐지만 LH가 준공 이후 관리주체가 넘어갔다는 이유로 해체와 교체를 위한 예산을 전혀 세워놓지 않고 있다는 게 김 의원의 설명이다. 특히 열악한 복지관의 운영주체들의 경우 교체를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고 김 의원은 덧붙였다.

 

김 의원은 “LH 영구임대단지 내 다중이용시설 대부분에서 석면이 검출된 만큼, 각종 시설공사나 시설이용 과정에서 이용객들이 석면에 노출될 위험성이 높다”며 “주기적인 재조사를 통해 입주민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석면 검출 구역에 대한 폐쇄 및 즉각적인 해체, 제거 방안이 강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영민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기획[우리 땅에 새겨 있는 역사의 흔적]화암사에 피어난 꽃

정치일반1조 2000억 인공태양 유치 시동…전북 민·관·학 손잡고 대장정 돌입

사건·사고군산 태양광 시설서 불⋯인명피해 없어

사건·사고흉기 들고 거리 배회한 60대⋯군산경찰 붙잡고 보니

정치일반이틀째 밤샘수색에도 울산화력 실종자 2명 못찾아…수색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