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직속 준비위 27일 세미나 / 국토부·관련단체도 움직임 분주
남북간 대치와 긴장완화 국면이 거듭되는 가운데 정부 각 부처는 물론 관련 업계나 단체 등에서 통일에 대한 준비를 위한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대통령 직속 통일준비위원회는 27일 오후 서울 남대문에 있는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통일공감대 형성과 국민통합’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남남갈등과 통일준비(발표자 연세대 전우택 교수), 평화통일을 위한 미디어의 역할(서울대 윤석민 교수), 여성과 함께하는 통일준비(한국여성정치연구소 김은주 소장), 통일헌장과 국민공감대 형성(중앙대 제성호 교수) 등을 주제로 이뤄진다.
건설이나 사회기반 시설 확충에 대한 논의를 통해 통일시대에 대비하려는 움직임도 활발해지고 있다. 새로운 시장이 필요한 건설·인프라 업계에 있어 북한은 잠재력이 큰 대규모 시장이기 때문이다.
국토부는 최근 북한의 건설·개발 제도와 개발계획의 현황을 연구하기로 하고 관련 용역을 발주했다.
국토부는 북한의 인프라 개발 수요와 국토·건설 분야 제도, 남한과 이질적인 건설용어 등을 정리해 남북협력과 관련한 정책 수립에 활용할 계획이다.
경제특구·경제개발구 등 최근 발표되는 북한의 건설·개발정책 동향, 북한의 건설·개발 관련 법령 현황, 북한의 국토·지역 개발계획과 대외협력 개발계획 현황 등을 파악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이 연구 결과를 우리 정부와 민간기업이 앞으로 북한 개발에 참여할 때 기초정보로 활용하겠다는 구상이다.
건설업계도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대한건설협회는 지난 4월 ‘통일위원회’를 구성, 첫 회의를 열었다.
이 위원회는 대북 사업 실적이 있는 건설업체와 대기업이 주축이 되고 인프라 조성에 특화된 한국토지주택공사, 코레일, 한국도로공사 등 공기업도 동참했다. 국토연구원, 교통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국책 연구기관과 정부 관계자도 참여하고 있다.
위원회는 우선 북한 건설인력 교육과 중국·러시아와의 합작·협력을 통한 대북 사업 발굴 등을 검토하고 있다. 5·24 대북 제재조치로 당장 남북 간 교류가 어려운 만큼 현 시점에서 가능한 사업 모델로 이런 사업들을 검토하는 것이다.
공기업인 LH도 북한 관련 세미나를 여는 등 분주하다. 가까운 미래에 실행할 수 있는 북한과의 개발협력 과제를 찾고 그 추진 방안을 모색하겠다며 지난달 ‘동북아 시대 북한 개발협력 세미나’를 개최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대북 구상인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대륙 간 철도와 한국 내 철도(경부선·경의선 등)를 잇는 사업에 대해서도 정부 차원에서 연구용역이 진행되고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