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원내대표 '유신' 발언에 文, 최고위 불참 / 비주류 "중앙위 연기…무기명 투표" 주장 / 일부 혁신위원 '도 넘은 비판' 분란 가중도
문재인 대표의 재신임 성격을 띤 혁신안 처리를 위한 중앙위원회를 앞두고 새정치민주연합 내 주류와 비주류의 벼랑 끝 대치가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다. 주류 측은 “비주류가 도를 넘어선 흔들기를 한다”고 역공에 나섰고, 비주류 측은 중앙위 국감 이후 연기를 재차 요구했다.
특히 일부 혁신위원들이 혁신안에 대한 부정적 의견을 피력하는 당내 인사들을 향해 쏟아내는 도를 넘어선 발언이 오히려 분란을 더욱 가중시키면서 내홍이 극에 달하는 모습이다.
문 대표의 재신임 카드에 따른 내홍은 ‘16일 중앙위 개최 및 재신임투표 연기’로 봉합되는 듯 했다. 하지만 안철수 전 대표의 중앙위 연기 공개서한과 이종걸 원내대표의 ‘유신’ 발언이 나오면서 더욱 격화되는 양상이다. 급기야 이날 오전 열린 최고위원회에 문 대표가 불참했다.
이런 가운데 비주류인 주승용 최고위원은 “수신제가 치국평천하가 리더의 덕목”이라며 “국감과 정기국회를 포기하고 당내 문제로 갈등을 하면 총선에 이길 수 없다. 왜 대표가 총선룰에 직을 거는지 국민은 의구심이 들 것”이라고 비판의 목소리를 이어갔다.
비주류 모임인 ‘민주당 집권을 위한 모임’도 중앙위 개최 시점을 국정감사가 끝나는 오는 10월 8일 이후로 연기해야한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그러면서 문 대표가 중앙위 개최를 강행한다면 무기명 투표를 요구하고,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투표 참여를 재고하겠다며 으름장을 놨다.
비주류인 박지원 전 원내대표도 트위터에서 “문 대표가 결단하면 모든 당내 문제가 해결된다. 문 대표와 함께 했던 분들도 (결단을 요구하는) 생산적 의견을 밝히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가”라고 글을 남겼다. 이는 중앙위 연기는 물론 나아가 문 대표의 사퇴까지 포함한 결단을 촉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주류 진영에서는 안철수 전 대표의 공개서한과 이 원내대표의 ‘유신발언’에 대해 “도를 넘어선 흔들기”라고 정면으로 비판하고 나섰다. 조국 혁신위원은 페이스북에서 안 전 대표를 겨냥한 듯 “당인이라면 당내 절차를 존중하라. 싫으면 탈당해 신당을 만들어라”고 했다.
그는 또 트위터에서도 “문재인, 안철수, 호남, 친노, 비노 모두 모아도 이길까 말까다. 절차에 승복하는 기풍이 세워지지 않으면 이전투구의 반복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당의 혁신을 위한 일에 의견 대립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국민은 안중에 없고 자신들의 이익마을 위한 권력투쟁으로 비화되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했다. 그는 그러면서 “일부 혁신위원들의 발언이 오히려 당내 갈등에 기름을 붓고 있다. 혁신위원들은 반대의견도 수렴하려는 자세를 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