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비주류, 소추안 원안 유지 부정적·…박대통령 개별 연락 가능성도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6일 ‘자진사퇴는 없다’고 못 박은 가운데 국회 탄핵소추안의 찬·반 표결에 영향을 미칠 막판 변수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야권이 탄핵소추안에 ‘세월호 7시간’부분을 원안대로 유지하기로 한 것을 두고 탄핵안 가결의 키를 쥐고 있는 새누리당 비주류가 부정적인 입장을 보임에 따라 이 부분이 최대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박 대통령이 탄핵을 앞두고 새누리당 의원들에게 일일이 ‘전화 호소’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탄핵안 표결까지 하루 남은 상황에서 정치권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무조건 탄핵 참여를 결의했던 새누리당 비상시국회의가 탄핵안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세월호 침몰 당일 7시간 행적에 대한 내용을 뺄 것을 야당에 비공식 요청했다는 소식이 7일 전해졌지만 야권은 새누리당의 조정안에 난색을 표시했다.
당초 야권은 여당 비주류의 탄핵 참여를 유도하기위해 물밑에서 해당 문구를 수정하는 방안을 논의했었다. 하지만 지난 6일 박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 당시 머리 손질에 90분을 허비했다는 언론보도가 이어지면서 이를 제외할 수 없다는 쪽으로 방향을 굳혔다. 보도 이후 여론이 악화되면서 이 부분을 탄핵안에서 빼는 것은 국민정서상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게 야당의 판단이다.
새누리당 비주류는 ‘세월호 7시간’문제로 ‘탄핵안 표결 참여’라는 기조는 바뀌지 않는다고 밝혔다. 탄핵안 찬성을 위한 정족수도 충분히 확보됐다고 재차 확인했다. 비상시국회의 대변인 격인 황영철 의원은 “29명 이상이 찬성 의사를 밝혔다”고 말했다. 탄핵안 가결을 위해서는 야3당과 무소속의원 172명과 함께 최소 28명의 여당 의원들이 찬성표를 던져야 한다. 그러나 탄핵에 찬성하기 어렵다고 주장하는 일부 의원들까지 설득하는 데는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세월호 7시간’과 더불어 박 대통령이 새누리당 의원들에게 전화를 걸어 자신의 입장을 피력할 가능성도 변수로 제기된다.
민주당 지도부 핵심관계자는 “표결 전날 박 대통령이 일일이 전화를 걸어 설득할 수도 있는 데 그 부분이 좀 경계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새누리당이 전날 의총에서 찬반 당론을 정하지 않고 의원들의 자유투표로 맡기기로 한 점도 관건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