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오는 풍경을 그린 그림을 보면 한결같이 빗방울이 둥근 모양을 하고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것처럼 빗방울은 정말 둥근 모양일까?
빗방울은 영하 고공에서 얼어붙은 수증기가 눈의 형태로 하계로 쏟아지다가 기온이 높은 지상에 가까이 오면서 녹아 물방울이 된 것이다.
빗방울도 물방울이기 때문에 당연히 그 모양이 둥글기 마련이지만, 고공에서 떨어지던 얼음덩이가 물방울로 변하게 되면 공기 저항을 받게 된다.
이렇게 낙하하면서 받는 공기의 저항은 물방울 밑 부분에 집중되기 때문에 밑쪽은 평평하게 된다.
하지만 공기의 저항을 받지 않는 윗부분은 그대로 둥근 형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가장 흔한 빗방울 형태는 아래가 평평하고 위는 볼록한 ‘호빵’ 모양을 하고 있다.
맹소영 날씨칼럼니스트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