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토목공사 중심 아닌 지역자원 재생 / 재정자립도 낮은 지역 정부 지원 새 단장
정부의 내년도 도시재생 뉴딜 시범 사업지로 도내에서 6곳이 선정됐다. 과거 정권의 무관심 탓에 ‘낙후의 대명사’가 된 전북의 구도심을 새롭게 단장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는 평가다. 건설·토목공사 중심의 개발이 아닌 지역의 자원과 문화를 살리면서 ‘도시재생모델’을 만들 수 있다는 점도 고무적이다.
그러나 도시재생 뉴딜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도시재생센터 구축과 전문인력 확보 등이 시급한 과제로 꼽히고 있다. 또 자치단체에서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
도내 6곳의 도시재생 뉴딜시범사업 내용과 가야할 길, 문제점, 대안 등을 세 차례에 걸쳐 짚어본다.
△뉴딜 대상지역은 어디= 17일 전북도에 따르면 도시재생 뉴딜시범사업을 신청한 도내 14곳 가운데 6곳이 선정됐다.
군산시는 ‘다시 열린 군산의 물길, 그리고 째보선창으로 밀려오는 3개의 물결’(국비 150억 원)과 ‘공룡화석이 살아있는 장전·해이지구 사업’(국비 38억 원)이 선정됐다.
전자는 군산시 금암동 일대 14만 4621㎡부지에 폐철도를 공원화해 근대 역사지구내 관광객을 전통시장 밀집지역으로 유입하고, 대규모 유휴부지 4곳을 청년창업단지 등으로 재생하는 게 골자다. 후자는 주거지 노후화로 쇠퇴한 산북동 일대의 마을(4만 9310㎡) 인프라를 개선한 뒤, 인근 산업단지 근로자를 유입하려는 사업이다.
익산시의 ‘역사가(歷史家) 문화로(文化路)’(국비 150억 원)는 중앙동 1가 24번지 일대(18만 5007㎡)를 100년 철도 역사의 역사성을 바탕으로 청년창업과 마을기업 육성을 도모하는 사업이다.
정읍시의 ‘지역특화산업(떡·차·면·술)으로 살리는 시민경제도시 정읍’(국비 150억 원)은 수성동·장명동·시기동 일대(27만 7500㎡)에 내장산떡문화관, 쌍화차체험관, 정읍약주체험관, 패브릭아트갤러리 등 문화예술공간을 조성하는 게 사업의 골자다.
완주군의 ‘만경강변 햇살 가득 동창마을’(국비 100억 원)은 봉동읍 장기리 일대(9만 9098㎡)에 국비 100억 원을 들여 인근 산단에서 일하는 근로자의 거주공간을 확보하는 사업이다.
전주시의 ‘서학동예술마을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문화인들의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주거복지향상과 골목길 정비 등이 사업의 골자다.
△기대효과= 도내 자치단체는 정부의 예산 지원 속에서 도심을 다시 디자인 할 수 있는 호기를 맞게 됐다.
특히 도시낙후상태가 심하고 재정자립도가 낮은 도내 자치단체의 경우엔 더욱 절실히 와 닿는다.
국토교통부가 지난 8월 발표한 ‘2016년 전국 도시 쇠퇴현황’ 자료에 따르면 도내 241개 읍·면·동 가운데 171곳이 ‘도시재생 대상지역’으로 분류됐다. 여기에 도내 자치단체의 평균 재정자립도(자체수입/세입)도 28.6%로 전국 17개 광역 시·도 중 전남(26.23%) 다음으로 낮다. 자치단체 차원에서 단독으로 도시재생을 수행하기가 힘든 여건이었다.
그러나 이번 지원대상 선정으로 도시재생 사업의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됐다. 도 관계자는 “사업 유형을 면적 단위로 나누기 때문에 정확하게 파악하긴 힘들지만, 대략 사업 대상지 안에 있는 24개 정도의 읍면동이 재생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