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직무역량, 채용 당락에 미치는 영향 50% 이상

스펙보다는 직무 중심의 채용문화가 점차 확산되면서 ‘직무역량’이 채용 시 더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김용환)이 최근 기업 인사담당자 336명을 대상으로 ‘채용 시 직무역량 평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직무역량 평가가 당락에 미치는 영향 수준은 평균 53%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50%’(23.8%), ‘70%’(15.8%), ‘30%’(11.3%), ‘80%’(11%), ‘60’%’(11%) 등의 순으로 ‘직무 능력’은 대체로 당락 결정에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지원자의 직무 역량 보유 여부를 판단하는 최우선 기준은 ‘직무 관련 실무 수행 면접’(27.7%)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아르바이트, 프로젝트 수행 등 직무 관련 경험’(19.6%), ‘직무 관련 자격증 보유’(18.5%), ‘전공’(17.6%), ‘인턴경험’(9.2%), ‘인적성 검사’(3%) 등의 순이었다.

위의 기준이 영향력이 큰 이유로는 ‘경험상 실제 직무에 영향을 많이 미쳐서’(63.4%, 복수응답)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가장 객관적인 기준이라서’(23.5%), ‘간접적으로 직무 능력을 예상할 수 있어서’(21.1%), ‘직접 검증할 수 있어서’(16.4%), ‘가장 쉽게 평가할 수 있어서’(11%), ‘보편적 증빙 자료라서’(6.3%) 등의 답변이 있었다.

직무 역량 평가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채용 전형은 역시 ‘실무진 면접’(67.3%)이었다. 다음으로 ‘서류전형’(9.2%), ‘임원면접’(8.6%), ‘인적성검사’(8.3%), ‘실기시험’(4.5%) 순이었다.

서류상 직무평가를 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자기소개서의 경우, 가장 영향력이 큰 항목은 ‘인턴 등 사회생활 경험’(36.3%)이었다. 이어 ‘지원동기’(15.2%), ‘전공선택 이유와 적성’(14%), ‘성격 장단점’(10.7%) 등을 꼽았다. 대부분 작성 시 직무와 연관된 사례를 써야 하는 항목으로 인사담당자들도 이 부분을 중심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

직무평가와 인성평가 비중은 평균 52:48로 ‘직무 적합성’에 더 무게가 실렸다.

직무 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새로운 전형을 만든 기업은 31.8%였다.

이들 기업이 새로 도입한 전형은 ‘실무 관련 시험 및 실기전형’(33.8%,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고, ‘상황 면접, 현장실습 면접 등 이색면접 시행’(26.3%), ‘블라인드 채용 실시’(12.8%), ‘토론 등의 그룹 면접 방식 도입’(12.8%), ‘온라인 인적성 검사’(12%) 등의 전형을 실시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직무역량 평가’에 어려움은 없었을까.

응답기업의 76.2%(복수응답)가 ‘짧은 기간 안에 진행되는 채용 전형만으로 평가가 쉽지 않은 점’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다. 계속해서 ‘직무 역량 평가 방법 및 기준이 모호함’(21.1%), ‘시간 및 비용과 인력이 많이 소요’(13.1%) 등이 있었다.

나열식 스펙보다 지원하고자 하는 직무의 역량 및 적합성은 향후 채용평가에 있어 더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 과거에 비해 ‘직무 역량 평가 비중이 변화했느냐’는 질문에 인사담당자의 45.8%가 ‘직무 역량 평가 비중이 더 커졌다’고 답했다.

강현규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단체장 도전”…전북도청 간부공직자들도 ‘선거 러시’

자치·의회전용태 전북도의원, 공공의료 안정운영 위한 진안의료원 재정지원 법제화 촉구

사건·사고금은방서 금팔찌 훔쳐 달아난 20대 2명 검거

정치일반플랜B도 멈춘 450억 '새만금 청소년센터'...‘치유·힐링캠프’로 활용 필요

정치일반“결혼, 자연 속에서 공공과 함께”…전북도, 새로운 결혼문화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