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환경운동연합은 12일 논평을 통해 “최근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면서 전북은 7일간 비상저감조치를 시행했지만 시민은 개선 효과를 체감하기 어려웠다”며 “이는 정확한 원인 진단 없이 정부 방침만 따랐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미세먼지가 준 교훈은 주요 배출원에 대한 고강도 관리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라며 “고농도 미세먼지가 지속되면 민간 차량 2부제, 대기배출시설 가동 축소 등 비상 시기에 맞는 강력한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전북도는 앞서 진행한 미세먼지 관련 연구용역을 발표한 뒤 환경단체 등과 맞춤식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며 “미세먼지 배출원과 원인자에 대한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전북의 미세먼지 배출원의 특징은 ‘비산먼지가 36.7%, 생물성연소 28.5%’로 그 비율이 높다.
단체는 “이 같은 비율이 전북에 자동차나 산업 배출원이 별로 없는데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지에 대한 답”이라며 “(전북의 미세먼지는)넓은 토목공사장인 새만금과 연결이 된다. 즉 새만금발 미세먼지 유입 가능성에 대한 비중이 큰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미세먼지 대응 민관 협의체를 구성해 지역 상생 방안을 모색하고 도의회는 전북 미세먼지 예방 및 저감지원 조례 개정 작업을 서둘러야 한다”고 덧붙였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