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호남삼걸’ 석정 이정직 선생의 시서화 재조명

김도영 예원예술대 교수 '전북 서예의 중흥조 석정 이정직' 출간

해학 이기, 매천 황현과 더불어 근대 계몽기 ‘호남삼걸’로 알려진 석정 이정직 선생(1840~1910)의 시서화 작품세계를 재조명하는 책이 나왔다.

김도영 예원예술대 교수가 펴낸 <전북 서예의 중흥조 석정 이정직> (신아출판사).

구한말 역사적 격변기인 1840년 김제 백산면에서 태어난 석정 선생은 시·서·화 세 가지가 모두 뛰어났던 ‘시서화 삼절’로 호남서예와 문인화의 맥을 세운 서화가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또한 칸트와 베이컨의 서양철학을 우리나라에 최초로 소개한 근대 철학자이자 실학의 대가로 일컬어진다.

이 책은 김도영교수가 그간 발표한 ‘석정 이정직의 시서화 예술심미’에 대한 원고와 그의 박사학위 논문인 ‘석정 이정직의 서화에 대한 문화재적 가치 연구(2014년)’를 보완해 엮은 것이다.

책은 1장 들어가는 말 : 진정한 법고창신을 지향하며, 2장 석정의 생애와 학문사상, 제3장 석정 서예의 예술론과 미학적 예술경지, 4장 석정 문인화의 예술론과 미학적 예술경지, 5장 석정 서화의 문화재적 가치와 석정 서화맥, 6장 맺는말 : 유말구본을 통한 도예일치 구현 등 6장로 구성됐다.

“석정은 세상이 요동치고 쓰러져 가던 구한말에 서화예술의 근원을 지키며 시서화 삼절의 전통을 계승했습니다. 진정한 법고창신(法古創新)을 지향하며 근본을 강조했고, 서화를 통해 유말구본(由末求本)을 구추하여 도예일치(道藝一致)를 구현한 전북 서예의 중흥조(中興祖)이자 전범(典範)입니다.”

김 교수는 머리말을 통해 석정 선생의 시서화작품을 총망라해서 완성된 저서를 이루고자 했으나, 전국에 흩어져 소장된 작품들이 많아 지금까지 공개된 대표작들을 중심으로 고찰했다고 밝혔다. 책에는 60여 개의 시서화 작품이 실렸다.

이용수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법원·검찰장애인 속여 배달 노예로 만든 20대 남녀⋯항소심서도 ‘실형’

익산10월 익산 소비 촉진 정책 ‘통했다’

정치일반김도영 교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위촉

정치일반올해 100대 기업 여성임원 476명 역대 최다…전체 임원 중 6.5%

정치일반'검은 수요일' 코스피 6%↓…급등 부담 속 'AI 버블론'이 직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