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8년부터 올해까지 제1차 전라북도 인구 종합대책 추진
2018년부터 2021년까지 4만 9977명 인구 유출, 제2차 대책 계획
지난 1966년 전북 인구는 252만 3708명에 달했다.
그로부터 2년 뒤 1968년 전북 인구는 248만 5189명, 250만 인구 벽이 무너지면서 계속해서 하락세를 이어왔다.
그렇게 2000년 200만 인구 벽마저 무너진 전북은 지난해 12월 기준 178만 6855명으로 추락했다.
이러한 인구 감소세를 막고자 지난 2019년 1월 전북도는 '전라북도 인구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머물고 싶고, 살고 싶은 행복한 전북’을 비전으로 마련된 인구 종합대책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개년으로 추진됐다.
전북도는 저출산과 청년‧일자리, 중장년‧고령화 분야, 농촌활력, 다문화, 도시재생‧활력 등 6개 분야에 대한 생애주기별 추진계획과 출생아 수 증대, 인구유출 방지, 인구유입 확대 추진계획으로 마련된 종합대책을 통해 인구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 추진에도 전북의 인구 감소세를 막기는 어려웠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간 전북 인구는 4만 9977명이 감소했다.
이 같은 감소세는 비단 전북만의 문제가 아니었다.
앞서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출생·사망통계’를 살펴보면 전국적으로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넘어서는 ‘데드크로스’ 현상이 발생해 인구 감소 문제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감소는 저출산과 고령화에 따른 사망자 증가로 인구 자연감소가 진행되는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이러한 내용을 비춰봤을 때 단순히 양질의 일자리 제공만으로는 인구를 늘릴 수 없다는 의견이 뒤따른다.
결국 타지역의 핵심 인적자본인 청년인구가 유입될 수 있는 지역실정에 맞는 특화된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도 나온다.
이에 대해 전북도는 현재 2022 인구정책 시행계획을 수립 중이라고 전하는 한편 제2차 인구정책 종합대책 수립 용역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제2차 인구정책 종합대책 수립 용역은 올해로 마무리되는 제1차 인구정책 종합대책의 후속으로 오는 2023년부터 2027년까지의 전북 인구정책 추진 방향 수립 및 인구감소 종합 대응방안 토대 등을 담을 것으로 보인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