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탄소중립 선도지역으로 나아가기 위한 첫 발을 내디뎠다. 도민이 직접 출자해 건립한 ‘전북도민 햇빛발전소 1호기’가 준공을 마치고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전북자치도는 31일 한국소리문화의전당에서 준공식을 열고, 에너지 전환을 향한 도민 참여의 결실을 기념했다. 준공식 현장에서는 7개 분야(행정·의회·민간·청년·탄소중립·에너지·미래세대)를 대표하는 도민들이 ‘햇빛 퍼포먼스’를 통해 각자의 메시지를 낭독하며,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을 향한 실천의지를 공유했다.
전북도민 햇빛발전소는 도 공유부지 유휴공간에 조성된 첫 태양광 발전시설로, 250kW급 설비가 연간 약 33만kW의 전력을 생산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152명의 도민이 출자자로 참여했으며, 향후 수익은 지역사회 환원과 2호기 설치 등 확대 사업에 활용된다. 이날 행사에서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퍼포먼스와 감사패 수여식도 함께 진행됐다.
햇빛발전소는 주민이 출자자로 참여해 공공 부지에 설치되는 ‘시민참여형 분산에너지’ 모델이다. 전력 생산을 통해 얻은 수익은 조합원에게 배당하거나, 지역 에너지 복지·기후위기 대응 사업 등 사회적 목적에 재투자된다. 신재생에너지 확대의 핵심이면서도, 에너지 생산과 소유 주체를 시민에게 돌려준다는 점에서 ‘정의로운 전환’의 대표 사례로 꼽힌다.
도는 이 모델을 ‘전북형 에너지 자립’의 대표 정책으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향후 도내 유휴 공공부지를 중심으로 도민 햇빛발전소 2호기, 3호기를 지속 확대하고, 마을 단위의 에너지 협동조합과 연계한 지역경제 선순환 구조도 모색한다.
김진섭 전북도민햇빛발전협동조합 이사장은 “전북도민 햇빛발전소는 지속가능한 햇빛 농사의 출발점이자, 에너지 전환의 새로운 이정표”라며 “도민의 힘으로 전북형 에너지 민주주의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유창희 정무수석은 “기후위기 대응은 선택이 아닌 의무”라며 “180만 도민 모두가 햇빛 농사로 부자 되는 미래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