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규제 여파 지방으로 확산…전북 전망지수 66.6, 급락 폭 전국 상위 자금 경색·미분양 부담 겹치며 지역 주택시장 ‘복합 냉각기’ 진입 우려
전북의 주택사업 심리가 한 달 만에 급격히 얼어붙었다.
18일 주택산업연구원이 발표한 ‘11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HBSI)’에 따르면 전북은 66.6으로 전월(91.6)보다 25포인트 하락하며 전국 평균(65.9) 수준까지 떨어졌다. 서울·수도권 규제 강화로 촉발된 부동산 심리 위축이 지방으로 빠르게 확산되면서 전북이 특히 큰 낙폭을 기록했다는 점에서 지역 시장의 구조적 취약성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
이번 급락의 직접적 배경은 정부의 ‘10·15 대책’이다. 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 확대, 대출규제 강화가 수도권 거래심리를 급랭시키며 지방 역시 관망세가 확산됐다. 충북(−27.5p), 강원(−44.4p)에 이어 전북은 세 번째로 큰 낙폭을 기록했다. 전국적으로는 수도권 규제 강화가 지방으로 풍선효과를 만들던 과거와 달리, 이번에는 ‘동반 냉각’ 현상이 두드러진 것으로 분석된다.
전북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미분양 누적, 인허가·착공 급증으로 인한 공급 부담, 매수 관망 확산 등이 이미 누적된 상황에서 수도권 규제가 추가 충격으로 작용했다.
자금조달 환경도 동시에 악화됐다. 전국 자금조달지수는 73.4로 한 달 만에 13.1포인트 하락하며 사업자 부담을 키웠다. 금리 동결로 조달 비용부담 가중이 장기화되고, 수도권 규제 지역 확대에 따라 정비사업 지연 가능성이 커진 영향이다.
전북 지역 사업자들은 PF 연장이나 추가 대출이 더 까다로워졌다고 입을 모은다. 다만 자재수급지수는 96.6으로 소폭 상승했다. 시멘트·철근 등 주요 자재 가격이 하락했지만, 최근 환율 변동성이 커지며 비용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는다.
같은 호남권이지만 온도차도 뚜렷하다. 광주는 2.3포인트 상승한 80.0을 기록한 반면 전북은 25포인트 급락했다. 부산·울산 등 일부 광역시에서 반등 흐름이 나타난 것과 대비되는 지점이다.
전북의 지수(66.6)는 보합·하강 국면에 가까운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공급 확대, 미분양 부담, 금리·자금 경색이 동시에 작용한 복합 냉각기”라며 “단기 회복이 쉽지 않은 환경”이라고 전망했다.
이종호 기자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