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코엑스서 ‘2025 피지컬 AI 글로벌 포럼’ 개최…산·학·연·관 협력망 구축 제조·물류·농업·의료까지 산업구조 재편 논의…전북, 국내 첫 실증 테스트베드 선언 김관영 지사 “피지컬 AI로 제조혁신 선도…전북을 국가 실증 거점으로”
AI가 실제 환경 속에서 로봇·센서·모터 등과 결합해 움직이는 ‘피지컬 AI 시대’를 앞당기기 위한 글로벌 논의의 장이 열렸다.
전북특별자치도는 2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5 피지컬 AI 글로벌 포럼’에서 국내외 기술·산업·학계 전문가 500여 명과 함께 기술 발전 방향과 산업 적용 전략을 공유했다.
이날 포럼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주최로 전북자치도와 한국인공지능학회, 전북대학교, KAIST가 공동 주관했다. 김관영 지사를 비롯해 정동영·이성윤 국회의원, 류제명 과기부 차관, 박윤규 NIPA 원장 등이 참석했다.
‘K-피지컬 AI: 글로벌 제조혁신의 미래를 열다’를 주제로 열린 이날 행사에서는 세계 석학들이 최신 기술 동향을 제시했다.
오전 세션에서는 박태완 과기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이 국가 정책 방향을 설명했고, 미국 메릴랜드대 제이 리 교수와 UCLA 데니스 홍 교수가 미래 제조·로보틱스 기술 발전 흐름을 발표했다.
이어 필립 제라드 노키아 APAC 총괄과 이재민 현대차 E-Forest 센터장이 글로벌 기술 실증 사례를 소개했다. 이지형 한국인공지능학회장 주재 특별토론에서는 기술 상용화 전략이 집중 논의됐다.
오후에는 기술 트렌드·적용 도메인·학문적 프런티어 등 3개 트랙이 진행됐다. 홍콩폴리테크닉대, 스웨덴왕립공과대, 프린스턴대, 오사카대 등 해외 연구진과 KAIST, 서울대, 성균관대, 전북대 등 국내 대학이 참여했으며 보스턴다이나믹스·딜로이트·PwC·LG전자·네이버클라우드·LG CNS·하림지주 등 글로벌·국내 기업도 함께 심층 토론을 이어갔다.
전북도는 이번 포럼이 피지컬 AI를 미래 전략산업으로 육성하는 지역 전략을 본격화했다고 평가했다.
상용차·농기계·조선해양·농생명 등 도내 주력 산업과 결합하면 생산공정 자동화, 예지정비, 자율화 기술 실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전북이 최적지라는 분석도 나왔다.
도는 내년부터 피지컬 AI 실증단지 조성에 착수하고, 로봇·센서·AI 모델을 실제 공장·물류·농업 환경에서 검증하는 테스트베드를 구축할 계획이다.
김 지사는 “피지컬 AI는 이미 현실이 된 미래”라며 “전북을 국내 최초의 피지컬 AI 실증 테스트베드로 구축해 대한민국 제조혁신을 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준서 기자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