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닭·오리 안심하고 드세요”

 

조류독감 여파…도내 양계농가·업계'휘청'

 

전북도청 A공무원은 자신이 좋아하는 계란 요리가 요즘 며칠간 식탁에 오르지 않아 그 이유를 부인에게 물어보았다. 조류독감으로 동남아권에서 사망자까지 나올 만큼 인체에 위험한 데 달걀이라고 괜찮겠느냐는 부인의 가족 걱정에서 나온 지극한 배려더란다.

 

지구촌 전체로 조류독감이 확산되면서 이같은 식탁 문화는 A공무원 가정에 국한되지 않는다.

 

동남아권 조류독감과 다르고, 국내에서 문제가 된 조류독감에 실제 걸린 닭이라고 하더라도 70℃ 이상 끓일 경우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전문가들의 말에도 불구하고 닭·오리고기 기피 현상이 뚜렷하다.

 

문을 닫는 통닭집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별미로 여겨온 오리고기 전문 음식점을 찾는 발길이 뚝 끊겼다. 닭과 오리를 재료로 쓰는 가공업체들의 매출액도 크게 줄었다. 대형 마트점까지 닭과 오리고기 판매대를 치우는 상황에까지 이르렀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불어닥친 조류독감이 지구촌으로 확산되고, 국내에서도 종식되지 못하면서 닭·오리 소비 위축이 장기화 될 조짐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축산 농가와 업계의 어려움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특히 전국적인 닭 생산 중심지에다 관련 가공업체가 많은 도내의 경우 조류독감 장기화에 따른 타격이 더욱 우려되고 있다. 도내 닭 사육 두수는 전국 사육두수의 4분의 1인 24.7%를 차지하고 있고, 오리 사육두수도 전국 16.2% 비중이다.

 

전국으로 확산된 조류독감에서 도내 농가들의 경우 피할 수 있었고, 정부 수매대책에 따라 가격 폭락으로 연결되지 않아 그나마 다행이다. 그러나 소비위축이 장기화 될 경우 농가와 업계의 줄도산은 물론, 축산기반마저 흔들 것으로 우려된다.

 

실제 이같은 조짐이 점차 나타나고 있다. 전북도가 지난 11월 조류독감 발생후 3개월여간 도내 도계 물량을 조사한 결과 1천2백76만여 마리로, 전년 동기 대비 92% 수준으로 약간 감소하는 데 그쳤다. 그러나 도축된 물량의 21.6%인 2백76만마리가 현재 도계장에서 출하되지 못한 채 보관중이고, 정부의 닭수매에 한계점을 드러내면서 2월 들어서는 75% 수준으로 도계량이 떨어졌다.

 

전국 대표적인 닭가공 업체인 하림도 근래들어 도계물량을 절반으로 줄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실정에서 전북도는 매주 금요일을 '닭·오리고기 먹는 날'로 지정하고 13일 전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한 시식회를 갖는 등 닭·오리고기 소비촉진 활동에 나섰다. 전북애향운동본부도 이날 대의원총회 점심을 닭·오리고기 부페로 가진 데 이어 도민들의 소비촉진을 촉구했다.

 

전북도청 도홍기축산과장은 "국내 가금 인플루엔자는 동남아의 유전자형과 달라 인체 감염 우려가 희박하고, 특히 높은 온도에서 생존 가능성이 없어 음식을 끓여 먹으면 안전하다”고 말했다.

 

김원용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사건·사고경찰, ‘전 주지 횡령 의혹’ 금산사 압수수색

정치일반‘이춘석 빈 자리’ 민주당 익산갑 위원장 누가 될까

경제일반"전북 농수축산물 다 모였다"… 도농 상생 한마당 '신토불이 대잔치' 개막

완주‘10만490명’ 완주군, 정읍시 인구 바짝 추격

익산정헌율 익산시장 “시민의 행복이 도시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