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초록매실 이용한 다양한 먹을거리

 

시장에 초록 매실이 한창이다. 조그맣지만 녹색의 단단한 매실은 보기만 해도 입안에 침이 가득 고이게 한다. 매실은 나오는 기간이 보름 정도에 불과하고 다른 과일처럼 생것으로 보관할 수 없어 특별한 손길이 필요하다. 지금이 매실 음식 만들기에 적기. 이 때를 놓치면 내년까지 기다려야 한다. 김장을 담그듯 연례 행사처럼 매실 발효액, 매실 절임, 매실주를 만들어 보자. 이렇게 매실 음식을 만들어 놓으면 일년 내내 다양하게 즐길 수 있다. 부안에서 십 여년 매실 농사를 짓고 있는 정경식씨에게 매실 발효액 만들기에 대한 도움말을 구한다.

 

"매실 발효액을 만들 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매실과 설탕의 중량 비율이 1:1로 정확하게 지켜야 한다”고 정경식씨는 말한다. 매실 발효액(재료: 청매 3kg, 설탕 3kg)을 만들 때는 맨 먼저 질 좋은 청매를 골라 물에 잘 씻어 물기를 완전히 뺀다. 이쑤시개로 매실의 꼭지를 떼어 내고, 분무기에 소주를 담아 물기가 완전히 빠진 청매에 뿌린다. 이것은 곰팡이가 생기는 것을 막고 발효를 돕는다. 청매3kg과 설탕 3kg을 골고루 섞은 후 용기에 차곡차곡 담아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지고 서늘한 곳에 보관한다. 처음 2일이 지난 후부터는 하루에 한번 씩 잘 섞어준다. 이렇게 보름동안 발효시킨 다음 건더기는 건져내고 찌꺼기는 걸러낸다. 걸러진 원액을 6개월이나 1년 정도 숙성시키면 매실 발효액이 완성된다. 건더기는 매실주를 만들 때 사용한다.

 

만들어진 매실 발효액은 속이 더부룩하거나 기운이 없을 때, 또는 더위를 먹었을 때 한 잔씩 마시면 좋다. 매실 발효액에 약 5~7배 정도의 생수로 희석해서 마시면 훌륭한 건강음료가 된다. 또한 매실 발효액은 새콤달콤한 맛을 낼 때 기본양념으로 사용하면 좋다. 야채 샐러드나 겉절이, 미역 무침 등의 소스로 사용하면 향긋한 매실 향이 감도는 요리를 만들 수 있다. 또는 초고추장이나 초간장을 만들 때, 고기양념을 하거나 생선 요리할 때 활용하면 고기의 누린내나 생선의 비린내가 나지 않아 요긴하게 쓸 수 있다.

 

여름철 입맛이 없을 때 매실절임 만한 것도 없다. 매실절임은 식욕을 돋울 뿐만 아니라 식중독이나 소화불량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술안주로 곁들이면 덜 취하고 숙취 해소에도 좋다.

 

매실 절임(재료:청매 1kg, 설탕 600g, 죽염 조금)은 상처가 없는 청매를 골라 깨끗이 씻어 물기를 완전히 뺀다. 매실의 씨는 발라내고 과육에 설탕 400g을 골고루 뿌려 절인 다음, 유리병에 차곡차곡 담는다. 위 부분에 나머지 설탕 200g을 부어 설탕 덮개를 만든다. 그 위에 물을 넣은 비닐 주머니를 얹어 서늘한 곳에 15~20일 정도 둔 다음 건더기만 건져 죽염을 조금 넣고 간을 한다. 유리병에 담아 뚜껑을 잘 덮어 냉장고에 보관해두고 먹는다. 건더기를 꺼내고 남은 매실물은 약한 불에 달인 다음, 냉장고에 보관해 생수에 희석해서 마신다.

 

사람들이 가장 많이 매실을 활용하는 매실주는 술이라기보다 여름나기 가정 상비약이다. 설사가 났거나 더위를 먹었을 때 찬물에 희석해서 마시면 피로가 한 순간에 사라진다. 주로 청매나 노랗게 익은 황매로 담그는데 향과 빛깔이 더 좋은 매실주를 담고자 한다면 금매를 쓴다. 금매는 청매를 찜통에 넣고 쪄서 3~4일 햇볕에 말린 것.

 

매실주(재료: 매실1kg, 소주3.6ℓ 감초 2개)를 만들 때 매실을 깨끗이 씻은 다음 물기를 완전히 뺀다. 용기에 매실, 소주, 감초를 넣고 잘 밀봉해 햇볕이 잘 드는 곳에 3개월 정도 두었다가 매실을 건져낸다. 다시 밀봉해 그늘진 곳에서 최소한 1년, 길게는 3년 정도 숙성시킨다. 매실주를 담글 때 주의할 점은 매실과 담는 용기의 물기를 완전히 없애는 것.

 

전북일보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경제일반전북 농수축산물 신토불이 대잔치 개막… 도농 상생 한마당

완주‘10만490명’ 완주군, 정읍시 인구 바싹 추격

익산정헌율 익산시장 “시민의 행복이 도시의 미래”

사건·사고익산 초등학교서 식중독 의심 환자 18명 발생⋯역학 조사 중

익산동물의약품 규제자유특구 후보 익산, 미래 동물헬스케어산업 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