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공사 설계평가시 가산점 강제성 없어
"발주기관의 의지에 달려 있다. 농어촌공사가 지역업체를 참여시키려는 확고한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
우여곡절 끝에 28일 입찰공고된 새만금 방수제 공사 7개 공구에 대한 도내 건설업계의 반응이다.
도내 업계는 우선 업계가 그동안 요구해온 '지역의무'가 반영되지 않은 데 대한 아쉬움을 토로하면서, 공고대로 '지역업체 30% 이상 참여'가 실현될 수 있도록 농어촌공사가 적극적인 의지와 관심을 가져줄 것을 촉구했다.
설계평가시 지역업체 참여 컨소시엄에 가산점을 부여키로 했지만, 이 역시 공사측의 확고한 의지가 없으면 경인운하 사례처럼 지역업체가 사실상 배제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4대강 사업이나 호남고속철 사업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하도급의 50% 가량을 지역업체에 배려해줄 것을 권고한 것과는 달리, 하도급 관련 권고가 없는 데 대한 전문건설업계의 불만도 이어졌다.
도내 업계 한 관계자는 "가산점은 사실상 의미가 없다. 대형 건설사들의 움직임에 따라 경인운하 사태가 재연될 수 있다"면서 "4대강 사업을 '지역의무'로 추진한 이유를 생각해봐야 한다"고 경고했다.
이 관계자는 수주가 유력한 컨소시엄의 경우 지역업체에 20% 안팎, 수주 여부가 불투명한 컨소시엄은 설계비 분담을 위해 지역업체에 30% 가량 배정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도 내놓았다.
당초 계획보다 공구가 축소돼 농업용지 7개 공구만 우선 발주된 데 대한 우려도 적지 않았다. 턴키공사 10개 공구가 동시에 발주될 경우 경쟁사들이 분산될 수 있지만, 7개 공구만 발주되는 바람에 경쟁이 더욱 치열해져 컨소시엄 참여가 쉽지 않은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경쟁구도에 따라선 설계비만 손해볼 가능성도 높기 때문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번 턴키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 도내 업체는 약 40∼50여개사에 불과할 것"이라며 "가뜩이나 컨소시엄 참여가 어려운 상황에서 유력업체들간 혈전도 불가피해 보여 설계비 측면에서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고 토로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