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련되고 우아한 예술가곡
말에는 의미가 있다. 음악에도 의미가 있다. 정성을 다해 생각한 말인 시를 품위있게 전달하기 위해서 시에 선율을 붙혀 의미를 상승시킨 노래가 예술가곡이다. 말의 예술인 시와 소리의 예술인 음악이 결합한 예술가곡은 그래서 규모는 작아도 예술성이 깊다. 그 예술가곡은 낭만시대에 특히 사랑을 많이 받았으나 클래식의 어느 시대에도 예술가곡 형태의 시 노래는 언제나 있었다. 예술가곡이 나타난 경로를 살펴보자.
중세시대 십자군 전쟁을 전후해서 프랑스 남부 프로방스 지방에서 시인이자 가수들인 트루바두르(troubadour, 여성은 trobairitz)가 나타났고 이들 활동이 프랑스 북쪽으로 전해지면서 북프랑스에서는 트루베르(trouber)가 되었다. 트루바두르나 트루베르 둘 다 '노래를 만드는 이들' '발견자'라는 의미이다. 프랑스의 많은 성과 궁전들은 이들의 활동을 후원했다. 이들은 사화적 지위는 비록 낮았지만 당시의 엄격한 사회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활동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부러움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따라서 트루바두르에는 귀족도 있다. 아키텐의 공작 기욤 9세(Guillaume Ⅸ, 1071~1126)와 13세기 초 활동했다고 알려진 디아의 백작부인(comtessa de Dia)이 그들이다.
트루바두르와 트루베르 노래들은 이웃 나라들 노래의 원천이 되었다. 이 노래들은 사랑노래가 지배적이었지만 정치, 사회, 풍자 등 다양한 내용이 주제이었고 극적 발라드와 대화, 춤곡 등도 있었다. 대중노래지만 세련되고 우아한 시 노래이었던 것이다. 이 전통은 샹송(chanson)으로 이어진다.
트루바두르는 더 북쪽으로 옮겨가면서 남독일에서 민네징거(Minne singer)가 된다. 민네(Minne)는 사랑을 뜻하기 때문에 민네징거는 '사랑을 노래하는 가수'. 이들의 노래는 민네리트(Minne lied)로서 '사랑노래'의 의미이다. 민네징거 활동이 더 북쪽으로 전파되면서는 명가수를 의미하는 마이스터징거(Meister singer)가 되고 마이스터징거의 활동은 르네상스 시대까지 이어진다.
뉘른베르크의 제화공 한스 자크(Hans Sachs, 1494~1576)는 전설적인 마이스터징거로서 수천개의 시와 13개의 톤(Ton)을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톤은 시의 선율과 리듬을 정형화 한 체계를 말한다. 바그너의 오페라 <뉘른베르크의 명가수> 주인공 명가수는 실제 인물인 이 한스 자크이니 그의 마이스터징거로서의 생애와 예술은 바그너에 의해 시대를 초월한 불멸의 명가수가 된 셈이다. 뉘른베르크의>
마이스터징거 전통은 유럽의 강국이 된 19세기 독일 음악문화의 중심에 자리하면서 독일어를 모국어로 하는 시인들에게 영향을 주었고 독일과 오스트리아 작곡가들은 이 독일어 시에 작곡을 하여 리트(Lied, 복수는 Lieder)라는 예술가곡을 탄생시킨 것이다. 리트는 '노래'라는 독일어로서 슈베르트에 의해 더욱 예술성 놓은 예술가곡으로 거듭나게 되고 슈만, 브람스, 볼프, 슈트라우스를 거치면서 계속 변함없는 사랑을 받아 낭만시대의 중요한 클래식이 된다. 하긴 그 전 고전시대의 모차르트, 베토벤도 예술가곡을 작곡했었다. 베토벤의 작품은 9개의 교향곡을 비롯 협주곡, 실내악, 소나타, 변주곡 등 기악이 많이 알려져 있지만 연가곡 <멀리있는 연인에게> 를 비롯 예술가곡도 80여곡이 넘는다. <미뇽> <새로운 사랑, 새로운 삶> 등 괴테의 시에도 작곡을 하였다. 연가곡(Song Cycle)은 한 시인에 의해 쓰여진 관련 있는 내용의 연작 시를 한 작곡가가 역시 관련있게 여러곡으로 작곡하는 모음곡(Suite) 같은 예술가곡을 말한다. 새로운> 미뇽> 멀리있는>
/신상호(전북대 음악학과 교수)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