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격 높아지고 공정사회되면 경제효과도 클것"
이명박 대통령은 27일 "'공정 사회'는 일시적인 구호가 아니며 임기 마지막 날까지 국정운용의 중심기조이자, 다음 정권까지도 계속 되어야할 중요한 과제"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수석비서관회의에서 "공정 사회는 정치이슈가 아니고 국민적 요구이므로 특정 정권의 문제가 아니다. 다음 정권에도 계속 되어야 완전히 공정한 사회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고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공정사회는 미래지향적인 것이다. 과거 수십 년 전에 사회 통념적으로 이뤄진 일을 지금의 공정사회 잣대로 평가하는 것은 혼란을 일으킬 수 있고 오히려 공정사회의 발목을 잡을 수도 있다"며 "통념적으로 이뤄지던 일들은 법과 제도를 통해 고쳐나가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또 "G20 등으로 대한민국 국격이 높아진 것에 걸맞는 우리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며 "국격이 높아지고 공정한 사회가 되면 경제적 효과도 클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공정사회가 무엇인지에 대해 정부 각 부처와 공공기관들이 자체적으로 정리하고, 각각 추진할 수 있는 정책에 대해 정리하라고 지시했다.
김희정 대변인은 "(이 대통령의 발언은) 일부에서 (공정 사회가) 사정으로 연결되는 것 아니냐, 또는 누가 더 공정하냐는 식으로 국민들을 편가르기 하거나 국론 분열을 가져오는 것 아니냐는 등의 걱정이 있다는 보고가 있었기 때문에, 이제부터 공정한 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국민 모두가 힘을 합쳐 나아가야 한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