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율 전국 세번째 높아, 작년보다 일자리 질 악화 / 고용불안 지속 땐 인력난·성장둔화 악순환 초래
전북의 고용안정성이 전국 최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통계청이 발표한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16개(세종시 제외) 광역시·도 중 도내 전체 임금근로자 대비 비정규직 비율은 40.6%로 강원(45.1%), 제주(40.8%)에 이어 세 번 째로 높았다.
제주·강원·광주에 이어 전국에서 네 번째로 비정규직 비율이 높았던 지난해보다 한 단계 오른 셈이다.
비정규직 비율이 가장 낮은 울산(24.7%)보다 15.9%p, 전국 평균(32.5%)에 비해서도 8.1%p 높은 수치다. 기간제 근로자나 파견직 등 비정규직의 비율이 높다는 것은 전북의 고용불안이 그만큼 심각하다는 방증이다.
최근 전북의 수출액이 급감하는 등 지역 경기가 좀처럼 활기를 찾지 못하는 가운데 안정적인 일자리를 비롯한 기업의 근로환경이 점차 열악해지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전북의 비정규직 비율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올 8월 기준 도내 전체 임금근로자는 57만6000명으로 이 중 비정규직은 23만4000명(40.6%)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월 전체 임금근로자 57만명 중 22만5000명(39.5%)이 비정규직이었던 것에 비하면 1년 만에 비정규직이 9000명 늘어난 반면 정규직은 3000명 감소했다.
같은 기간 시·도별 비정규직 근로자 증감비를 보면 정규직이 줄고 비정규직이 늘어난 지역은 전북과 강원 단 두 곳뿐이었다.
이처럼 고용불안이 지속되면서 좀 더 나은 일자리를 찾기 위한 도내 근로자의 이직과 타지역 진출이 잦아질 경우, 기업의 인력난과 성장 둔화를 초래해 결국 전체적인 일자리의 양과 질이 낮아지는 악순환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전주지역의 한 제조업체 대표는 “직원들에게 더 좋은 대우를 해주고 싶은 마음이야 있지만 사정이 여의치 않아 직원이 회사를 떠난다고 해도 붙잡기 조심스럽다”고 토로했다.
한편 비정규직 근로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2년 4개월로 정규직 근로자(7년3개월)에 비해 1/3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월평균 임금은 정규직(269만6000원)의 54.4% 수준인 146만7000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각종 사회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등) 가입률과 퇴직급여 수혜율 등에서도 비정규직 근로자는 정규직 근로자의 절반 수준에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