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합격한 72명도 아직 교단에 못 서 / 정원 감축·명예퇴직자 대폭 감소 등 원인
2016학년도 전북지역 초등 교원 임용시험 합격자 261명 중 아무도 올 상반기에 발령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지난 2015학년도 전북 초등 교원 임용시험 합격자 중에서도 올 3월 1일자 발령을 받지 못한 인원이 72명이어서, 인사 적체가 우려된다.
전북도교육청은 23일 청내 대강당에서 올 3월 1일자 유·초·중등·특수 신규교사 임명장 수여식을 열었다.
이날 총 251명의 신규교사가 임명장을 받았지만 초등 교사는 54명에 불과했다. 이는 지난 2015학년도 초등 교원 임용시험 합격자 중 발령 대기 중이던 인원에도 한참 못 미치는 숫자로, 대기자 중 72명이 23일 현재까지 미발령 상태로 남았다.
휴직 신청 기간을 넘겨 뒤늦게 휴직을 신청한 인원 30명의 자리(3월 3일자 인사)를 빼더라도 대기자(2015학년도 합격자) 중 42명이 남는다. 이들은 결국 올 하반기(9월 1일자) 발령을 기다려야만 한다. 임용시험에 합격하고도 1년 반을 쉬는 셈이다.
2016학년도 임용시험 합격자는 상황이 더 심각해, 이번 임용시험 합격자 261명 전원이 미발령 대기 상태에 놓였다. 지난 2014학년도 상반기에도 임용시험 합격자 302명 중 한 명도 발령 받지 못해 논란이 일었는데, 불과 2년 만에 같은 일이 반복된 것이다. (초등교사 임용 합격자 대규모 미발령 - 2014년 2월 26일자)
지난해 9월 1일자로 임명장을 받은 전북지역 초등 신규교사는 59명이었다. 올해에도 비슷한 규모로 하반기 인사가 이뤄진다고 가정하면, 올해 안에 발령을 받는 2016학년도 임용시험 합격자는 10여명에 불과할 수도 있다.
이처럼 전북지역 초등 신규교사 발령 대기자가 많이 발생한 이유로는 교육부가 전북지역 초등 교사 정원을 크게 감축한 것과 함께 명예퇴직자 또한 대폭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북도교육청에 따르면, 교육부의 교원 정원 가배정 결과 전북지역의 2016학년도 초등 교사 정원은 5667명으로, 지난해의 5737명에 비해 70명 줄었다. 5787명이었던 지난 2014년과 비교하면, 초등 교사 정원이 2년 새 120명이나 줄어든 것이다.
여기에, 지난해 공무원연금법 논란이 일단락되면서 명예퇴직자 수가 급감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초 전북지역에서 명예퇴직한 초등 교사가 117명에 달한 데 비해, 올 초 초등 명예퇴직자는 18명에 불과했다. (전북 ‘교원 명퇴대란’ 끝났다 - 2016년 2월 5일자)
도교육청 교원인사과 관계자는 “올해는 기간제 교사 인력풀을 여유 있게 운영하기 위해 대기 인원을 250명으로 설정했다”면서 “하반기 퇴직을 포함하면 한 해 최소 100명 이상씩은 비게 되므로, 대기 중인 교사들은 앞으로 2년 안에는 전부 발령이 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열린 임명장 수여식에서 김승환 교육감은 신규 교사들을 향해 “학생들로 하여금 스스로 말하게 하고, 궁금증을 풀어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1년 대기 후 이번에 발령을 받은 이나원 씨(초등·26)는 “오래 기다린 만큼, 아이들을 만나는 것이 기대된다”면서 “아이들 개개인을 바라보며 입장을 헤아릴 수 있는 교사가 되고 싶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