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북 가습기 살균제 신규 피해자 17명

환경보건시민센터 올 4월까지 접수

민간단체인 환경보건시민센터가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가습기 살균제 피해신고를 접수한 결과 도내에서 17명이 신규로 피해를 신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습기 살균제 피해 신고자들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가습기 살균제 4차 피해신고 접수를 맡고 있는 정부는 이에 대한 정보공개에 묵묵부답이다.

 

25일 환경보건시민센터 등이 가습기 살균제 민간신고센터를 통해 접수한 ‘2016년 1~4월 가습기 살균제 지역별 피해신고 현황’에 따르면 도내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는 17명(전국 556명)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경기(190명)가 가장 많았고, 서울(122명), 인천(34명), 대구(29명)가 그 뒤를 이었다. 또 뉴질랜드와 베트남, 필리핀에서도 각 1명씩의 국외 피해자가 신고했다.

 

민간신고센터에 접수된 가습기 살균제 피해신고는 특히 롯데마트 사장의 사과문 발표와 서울대 교수의 연구 보고서 조작논란이 불거진 4월에 전체 556명 중 320명이 접수했다.

 

지금까지 정부가 조사하고 밝힌 1·2·3차 도내 가습기 살균제 피해 신청자는 총 43명으로 이 중 2명이 숨졌다. 지역별로는 전주가 26명으로 가장 많고 완주 5명, 군산·익산 각 4명, 김제·정읍·임실·남원 각 1명 등이다.

 

그러나 현재 가습기 살균제 4차 피해 신청을 접수하고 있는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피해자 현황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 공개하지 않아 따가운 비난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가습기 살균제 4차 피해신청자 현황에 대해 “피해신고를 받고 있지만 아직 집계한 것이 없고, 집계가 되더라도 섣불리 공개할 수 없다”면서 “아직 환경부 고시가 개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4차 피해접수 마감 자체가 없어 계속해서 신청을 받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환경보건시민센터 임흥규 팀장은 “정부가 국가 대형 재난에 대해 안일한 태도로 정보공개를 하지 않는 것은 큰 문제”라며 “정부는 단순히 신고를 통해 피해신청을 받는 수동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능동적으로 피해자 찾기에 나서야 한다”고 요구했다.

관련기사 "우리도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전북지역 옥시 대리점의 절규
남승현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군산“서해안 철도 군산~목포 구간, 국가철도망에 반드시 반영돼야”

익산숲이 일상이 되는 녹색정원도시 익산

문학·출판전주문인협회 ‘다시 읽는 나의 대표작’

문학·출판교육 실종 시대에 던지는 질문, 신정일 ‘언제 어디서나 배웠다’

교육일반전북교육청, ‘깜깜이 5급 승진’ 의혹 해소 촉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