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당·여관 1년내 절반 폐업 / 중소기업청, 국감자료 분석
일자리를 찾지못한 서민들이 식당이나 숙박시설, 운수업 등의 창업을 하고있으나 생존율이 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한 소상공인 10명 중 7명은 5년을 채 버티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고, 특히 소상공인 종사 업종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음식점 혹은 숙박시설 10곳 중 5곳은 문을 연 지 1년도 안 돼 폐업하는 등 운영이 매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정부의 소상공인, 자영업자에 대한 지원대책을 전면 재점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중소기업청이 국회에 제출한 국감자료인 ‘소상공인 생존율’에 따르면, 지난 2008년 창업한 소상공인 중 2013년까지 활동한 비율은 29.0%에 불과했다.
연차별 생존율을 보면 창업 1년차 60.1%에서 2년차 47.3%로 급감한 뒤 3년차 38.2%, 4년차 32.2%, 5년차 29.0%로 꾸준히 떨어졌다.
업종별로는 숙박·음식점업, 예술·스포츠·여가업, 금융·보험업의 생존율이 최하위권에 속했다.
숙박·음식점업 생존율은 1년 만에 절반 수준인 55.6%로 떨어졌다.
음식점 혹은 숙박시설 10곳 중 5곳은 문을 연 지 1년도 안 돼 폐업했다는 의미다. 이어 2년차 39.5%, 3년차 28.5%, 4년차 21.5%, 5년차 17.7%로 생존율이 떨어졌다. 금융·보험업 생존율은 1년차 45.7%, 2년차 27.3%, 3년차 23.3%, 4년차 16.2%, 5년차 13.9%로 전체 업종 중 가장 낮았다.
예술·스포츠·여가업도 같은 기간 54.0%, 40.5%, 27.6%, 18.9%, 14.3%의 저조한 생존율을 보였다.
반면, 전기·가스·수도업은 5년차 생존율이 71.4%로 가장 높았다.
운수업(5년차 생존율 42.3%), 부동산·임대업(43.4%)도 창업 5년 후까지 절반가량이 살아남았다.
2014년 기준 소상공인은 전체 사업체의 86.4%인 306만개에 달했다. 종사자 수는 605만명으로 37.9%를 차지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