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다시"의 교훈

▲ 한성덕

“이웃집 할망구가 날 보더니/ 가방 들고 학교 간다고 놀린다./ 지는 이름도 못쓰면서/나는 이름도 쓸 줄 알고/ 버스도 안 물어 보고 탄다./ 이 기분 니는 모르 제.”

 

83세의 늦깎이 나이로 한글을 깨우친 어느 할머니의 ‘내 기분’이라는 시다. 이 시 속에는 웃음 가득한 할머니의 얼굴이 그려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읽는 내내 빙그레 웃음 짓게 한다. 인생을 ‘다시’ 산다는 기분에 얼마나 좋을까?

 

한동안 뜸했던 아내가 노래를 ‘다시’ 부르게 되었다. 그것이 뭐 그리 대단 할까마는 적어도 나에게 있어서만큼은 대단하다. 인생에서 ‘다시’라는 말이 없다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요즘의 아내를 보면서 새롭게 다가오는 “다시”라는 말이 새삼 고맙다.

 

세월을 살다보면 어떤 인생이라도 쓰러지기 마련이다. 그러나 넘어졌을 때 다시 일어서는 것은 자기 몫이다. 어린이들이야 부모가 일으켜 세우지만 성인이 된 우리를 누가 다시 일으켜 주겠는가? 그 ‘다시’ 일어남이 인생이라 말하고 싶은 이유는 주변에서 ‘다시’ 일어나지 못하고 쓰러져 죽은 사람들을 흔하게 보았기 때문이다.

 

“나 다시 일어서리라/더 이상 여기서 슬퍼할 수만 없어/ 어제까지 아픈 가슴 넓은 품에 맡겨버리고/두손을 굳게 잡고/나 다시 일어서리라/오 저 높은 곳 바라보며 나 다시 일어서리라.”

 

이 복음 성가의 ‘다시’는 나와 아내의 반면교사가 되었다.

 

좋은 선생님은 과연 누구일까? 야단치며 채찍 하는 선생님인가. 아니면 ‘괜찮아, 다시 해보자’고 용기를 주는 사람인가. 나는 당연히 후자 쪽이라 생각한다. 가수는 한 곡의 노래를 자기의 것으로 만들기 위해 수백 번을 다시 부르고 또 부른다.

 

소녀시절 가수를 꿈꾸었던 나의 아내는 갑상선 암을 수술하고 목소리가 변하여 노래는커녕 대화도 힘들었다. 그러나 지금은 노래를 다시 부르기 시작했다. 여기 까지 오는 데는 수많은 고통과 슬픔이 따랐다. 가장 큰 것은 좌절과 함께 찾아온 존재적 상실감이었다. 어느 곳에 가든지 노래로써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게 행복이었을 텐데 노래를 부르지 못하는 서러움이 질곡의 터널 속으로 빨려 들어 쉰 목소리에 갈라진 음성은 좌절하는 실망의 도를 넘었다. 관광을 가서 노래를 부르기 시작하면 불안으로 몸을 떨기도 했다.

 

언젠가 TV에서 국민 가수라 불리는 어느 대중 가수가 지금은 회복이 되었지만 한 때 갑상선 암 수술을 받고 노래를 부르지 못해 얼마나 갑갑했던지 자살까지 하고 싶었다는 심경을 털어 놓았다. 나는 순간 곁에 있던 아내를 바라보았다. 그 가수가 아내의 고통을 대변한 셈이다.

 

나는 순간 가능성을 열어 놓고 아내의 노래를 찾아주기로 결심하고 아내의 노래 선생을 자청했다. ‘여보! 좋아요. 다시 한 번 불러 봐요’ 하는 말을 수없이 반복했다. 때로는 아내가 신경질을 내기도 했으나 무시하고 나는 수없이 ‘다시’를 외쳤다.

 

드디어 다시 노래를 부르게 된 아내의 노래 속에서 ‘인생은 육십부터’라는 말이 실감났다. 아내는 작년 군산의 작은 콘서트홀에서 상을 받더니 이제는 더 큰 무대로 나서기 시작했다. 노래하는 아내의 모습이 더욱 빛났다. ‘다시’ 라는 말이 지금은 내 아내 인생의 행복을 채워주고 있다. 만약 ‘다시’라는 말이 없었더라면, 아니 ‘다시’하지 않았더라면 지금의 내 아내는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

 

인생이 즐겁고 ‘다시’ 할 수 있다는 기대감과 희망은 내일의 꿈이기도 하다. 이 같은 기쁨이 아내의 육십 인생을 새롭게 달구고, ‘다시’ 일어섬에 대한 감사로 하루 하루를 살아가고 있다. 우리도 “다시”라는 말을 되새겨 보며 용기를 잃지 않았으면 좋겠다.

 

△한성덕 수필가는 대한문학회 이사이자 행촌수필 회원으로 신아문예대학 수필 창작반에서 활동하고 있다. 수필집 〈단 하루만이라도〉를 펴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임승식 전북도의원 “인프라만 남은 전북 말산업특구 ‘유명무실’”

자치·의회김동구 전북도의원 “전북도, 새만금 국제공항 패소에도 팔짱만… 항소 논리 있나” 질타

국회·정당임형택 조국혁신당 익산위원장, 최고위원 출마 선언…“혁신을 혁신할것”

법원·검찰남편에게 흉기 휘두른 아내, 항소심서 집행유예

사건·사고‘골프 접대’ 청탁금지법 위반 의혹 전북경찰청 간부, 혐의없음 종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