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박물관, 군산 등 전국 10곳 자치단체 각축 / 지방 입지 밝힌 한국문학관, 정읍·남원 행보 관심
지방자치단체들의 과열 경쟁으로 보류되거나 방향이 바뀐 대형 국책사업 유치 경쟁이 다시 불붙을 조짐이다.
박근혜 정부에서 야심차게 추진했던 국립철도박물관과 한국문학관 건립이 새 정부 출범에 맞춰 재개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도내 일부 지자체를 비롯해 전국적으로 유치 희망 지역이 많아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가장 관심이 높은 사업은 국립철도박물관이다. 군산시와 전남 나주시, 경기 의왕시 등 10곳에 달하는 지자체가 철도박물관 유치를 희망하고 있다.
앞서 지난해 7월 국토부는 지자체간 경쟁 과열을 이유로 공모가 아닌 연구용역을 통해 철도박물관 입지를 정하겠다고 밝혔다.
국가예산 1000억 원을 들여 건립하는 철도박물관은 철도산업의 상징적인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관광객 유치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대형 국책사업이다. 이에 군산시는 2014년 10월 사업제안서를 국토부에 제출하고, 철도산업에서 군산지역이 갖고 있는 역사적·문화적 자산을 홍보하는 등 다각적인 유치 활동을 벌였다.
군산시는 입지 선정 방식이 다시 공모로 전환될 수 있는 점을 들어 국토부의 정책방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군산시 관계자는 “폐철도 활용을 위한 연구용역을 진행하는 등 국립철도박물관 유치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국립한국문학관 사업이 재개되면서 한국문학관 유치를 희망했던 남원시와 정읍시 행보에도 관심이 쏠린다.
문체부는 조만간 최종 후보지를 선정하고, 하반기에 세부 건립 방안과 기본 설계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당초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 문학역사를 대표하는 거점 확보를 위해 한국문학관을 지정, 2019년까지 국비 450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었다. 이에 정읍시와 남원시는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간담회를 열어 한국문학관 유치 전략을 짜는 등 행정력을 집중했다.
하지만 후보지 공모에 24개 지자체가 몰렸고, 지자체 간 경쟁구도가 과열되자 지난해 6월 공모 절차가 전면 중단됐다.
이후 지난해 12월 국립한국문학관 건립을 위한 문학진흥TF(태스크포스)는 한국문학관 입지로 문화역서울 284(옛 서울역사), 국립극단 부지, 용산공원 내 부지를 적정 후보지로 내세웠다. 하지만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시절 한국문학관 등 문화예술 관련 시설은 서울보다 지방에 입지해야 한다고 밝혀 정부 정책전환이 기대된다.
이에 대해 남원시 관계자는 “한국문학관 유치 사업에 적극적으로 뛰어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