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올 하반기 구직난 '심화'

구직자 대상 조사 결과 74% 느껴
전년비 7%P 상승, 경기 침체 요인
불면증 등 스트레스 경험도 88%

IMF 이후 최악의 구직난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구직자 10명 중 7명은 올 하반기 구직난을 여느 때보다 심하게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이 구직자 418명을 대상으로 ‘2018 하반기 체감 구직난’을 조사한 결과, 74.4%가 올 하반기에 구직난이 심해진 것으로 느낀다고 응답했다.

이는 지난해 조사 시 67.6%보다 약 7% 증가한 수치다.

올 하반기 구직난이 심화됐다고 느낀 이유로는 절반이 넘는 52.1%(복수응답)가 ‘경기가 좋지 않은 것 같아서’를 꼽았다.

다음으로는‘지원 경쟁률이 높아져서’(49.2%), ‘채용을 실시한 기업이 줄어서’(45.7%), ‘질 낮은 일자리만 많은 것 같아서’(40.5%), ‘서류 등에서 탈락하는 횟수가 늘어서’(38.9%), ‘기업별 채용규모가 축소돼서’(36.7%), ‘채용 절차가 까다로워져서’(20.6%) 등의 순이었다.

또, 35.2%는 올 하반기에 목표로 한 기업이 채용을 하지 않아 아예 지원을 하지 못한 적도 있다고 답했다.

기업 형태별로는 중견기업(46.9%, 복수응답), 중소기업(40.1%), 대기업(30.6%), 공기업 및 공공기관(25.2%), 외국계 기업(10.9%) 등의 순이었다.

심화된 구직난이 구직자들에게 끼친 영향은 ‘입사지원 횟수 증가’(59.5%,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고, ‘눈높이 낮춰 입사지원’(58.8%)이 근소한 차이로 뒤를 이었다.

이외에는 ‘묻지마 지원’(36%), ‘자격증 등 스펙 향상에 집중’(27%), ‘공무원으로 진로 변경’(9.3%), ‘취업 사교육에 투자’(9.3%), ‘인턴 등 실무 경험 쌓기 매진’(8.7%), ‘해외 취업에 적극 나섬’(8%), ‘창업을 준비함’(7.7%)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계속되는 구직난 때문에 취업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는지에 대해서는 무려 95.5%가 ‘그렇다’고 답했다.

구직난 때문에 겪는 스트레스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불편을 느끼는 약간 심한 수준’(54.7%)이 가장 많았고 ‘치료를 요하는 매우 심각한 수준’이라는 답변도 16.1%에 달했다.

또, 88.4%는 구직난 때문에 질병까지 겪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면증’(46%,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고 이어 ‘두통’(42.8%), ‘만성 피로’(41.8%), ‘소화불량’(33.4%), ‘목, 어깨 등 결림’(27.7%), ‘우울증, 공황장애 등 정신질환’(23.2%) 등이 있었다.

구직자들은 구직난이 완화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국내 경기 회복과 경제 성장’(68.4%, 복수응답), ‘정부의 실효성 있는 일자리 정책’(58.6%), ‘기업의 적극적인 일자리 창출’(58.1%), ‘구직자의 현실적인 눈높이’(23.4%), ‘대학 등 교육기관의 취업 맞춤 교육’(14.1%) 등을 꼽았다.

강현규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건설·부동산“거래는 멈췄는데, 빚은 늘었다“…전북, 악성 미분양 1500가구 훌쩍

정치일반李대통령, 민주당에 “집권여당 무게 나눈 동지…하나일때 가장 강해”

정치일반강훈식 실장 “지방공항 중앙·지방 비용분담 개선해야”

교육일반전북교사노조 “초등교사 출신 3급 고위직은 0명…교직사회 불균형 구조 깨야”

방송·연예전주 MBC 특집다큐멘터리 ‘치유의 손길 생명을 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