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실파려안의 칠실은 암실, 파려는 유리, 안은 눈을 의미한다. 다산 정약용은 저서 <여유당전서>에서 오늘날 카메라 장치와 유사한 당시의 기계를 '칠실파려안'이라고 명명하고, 그 장치와 원리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기도 했다.
이를 주제로 한 전시가 개최되고 있다. 바로 허성철 작가의 개인전. 오랜 시간 카메라와 친구처럼 지냈던 허 작가이기에 더할 나위 없이 잘 어울리는 전시 주제다. 전시는 오는 27일까지 청목미술관에서 개최된다.
전시는 허 작가의 사진 작품, 포토 페인팅 및 드로잉, 콜라주 혼합 작품 등 19점으로 구성돼 있다. 전시에서는 인생은 고난의 연속이지만 이를 이겨내고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 '삶'이라고 믿는 허 작가의 생각을 엿볼 수 있다. 다수의 작품에 '희망'이라는 메시지를 담은 이유이기도 하다.
허 작가는 전시를 통해 지금까지 펼쳐온 모든 사진 여정을 일단락하고 모든 인연에 감사하는 마음을 전하고자 했다. 카메라를 기록(재현)과 창작의 도구로 활용하는 허 작가인만큼 사진에 마음을 담은 것이다.
전시와 함께 <칠실파려안, 그 안에서 놀다>라는 책을 발간했다. 책은 전주를 기록하다, 나를 펼쳐 보이다, 사진으로 이야기하다로 구성돼 있다. 카메라와 엮인 모든 결과물을 한자리에 모아 세상에 내놓았다.
허 작가는 "내가 가장 좋아하는 것은 카메라를 가지고 노는 것이다. 그래서 오래전부터 생각했다. 60이 되면 카메라로 그 인연에 감사를 전하자. 덕분에 60년, 이렇게 잘 살아왔다"며 "60번의 해맞이. 감사의 인사도 이처럼 사진으로 하게 됐다. 내가 할 줄 아는 유일한 방법으로. 그래서 2022년 지금, 나는 무조건 행복하다"고 전했다.
그는 경희대에서 언론정보대학원 다큐멘터리 사진을 전공했다. 개인전 12회를 개최하고 독일 카를스루에 아트페어에 참가했다. 전북일보 사진기자로 활동했으며 예원예대, 전북대, 건양대 등에 출강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