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로 전북지역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경매시장도 극심한 침체기를 겪고 있다.
법원경매 전문기업 지지옥션이 5일 발표한 ‘2022년 12월기준 경매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전북지역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은 전달보다 7.2%p 하락한 81.3%로 3개월 연속 곤두박질 치고 있다.
이는 전국 지방 8개 도 중에서 충북의 9.7%p에 이어 가장 높은 하락률이다. 고금리 여파로 아파트 가격이 하락하고 거래절벽현상이 발생하면서 그 여파가 경매시장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때 감정가격을 웃도는 낙찰가율을 기록했던 아파트의 낙찰가율도 80%대에 머물며 인기가 시들해지고 있으며 그동안 강세를 보여 왔던 토지 경매시장도 낙찰률이 38.8%를 기록하며 82.2%의 낙찰가율을 기록했다.
상업시설의 경우는 상황이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5건중 4건은 유찰사태를 겪으며 20.7%의 낙찰률과 감정가격의 절반 수준인 57.8%의 낙찰가율을 보였다.
지난달 도내 경매시장 최고가는 전주시 완산구 중화산동 근린상가로 28억3117만2400원에 경매시장에 나왔다가 감정가의 71.3%인 20억1875만원에 낙찰됐다.
남원시 도통동 163 우성 아파트와 군산시 나운동 아파트에 각각 12명이 몰려 도내 최고 응찰자수를 기록했다.
전국 아파트 경매 진행건수는 1754건으로 이 중 483건이 낙찰됐다. 낙찰률은 27.5%로 2004년 10월(27.2%), 12월(27.3%)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낮은 수치다.
낙찰가율은 전월(78.6%) 대비 3.6%p 하락한 75.0%를 기록했는데, 이는 2012년 8월 74.6%를 기록한 이후 10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평균 응찰자 수는 5.7명으로 전달(5.3명)과 비슷한 수준으로 집계됐다.
8개 도 중에서 충북(68.7%) 아파트 낙찰가율이 전달(78.4%) 대비 9.7%p 곤두박질 치면서 전국에서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다. 지난해 3월부터 10개월째 내림세를 걷고 있는 경남(77.9%)은 전달 대비 3.9%p 떨어지면서 하락폭을 키웠다. 전남(76.7%)과 경북(79.1%)은 각각 3.0%p, 2.3%p 떨어졌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