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6 16:56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교육 chevron_right 교육일반
자체기사

까막눈 할매들이 쓴 손편지 “서거석 교육감님 감사합니다”

할머니들 9명, 손수 글편지 통해 서거석 교육감에게 감사마음 전달

image

글을 읽지도 쓰지도 못하는 ‘까막눈 어르신들’이 교복을 입고 한글 수업을 받았다. 이들은 학년 단계별로 자신의 등급에 맞게 공부했고, 지난 21일 그 결과를 인정하는 수료증을 받아들었다.

이들중 일부 어르신은 평생 ‘한’으로 남겨졌던 한글 읽기와 쓰기가 가능해지자, 이러한 학습 자리를 만든 서거석 전북교육감과 전북교육청에 감사의 편지를 썼다. 이번 감사의 편지는 어르신들 9명이 손수 직접 손글씨로 쓴 편지다. 물론 편지를 보면 띄어쓰기나 오타, 사투리 등의 어수룩한 부분이 있지만 내용을 보면 군더더기 없이 매끄럽다. 이들은 이제 사랑하는 손주, 자녀들과 카톡 및 메시지 등을 보내며 대화할 수 있게 됐다.

#.1 허보순 어르신

“존경하는 서거석 교육감님, 저는 초등3단계에서 공부하고 있는 허보순입니다. 저는 10살때 정읍군 옹동국민학교에 입학해 다니다가 1년도되지않아 학교를 그만두게 되었습니다. 아빠, 엄마는 바쁘시고 할아버지, 할머니는 몸도 아프시고 연세도 많으셔서 동생을 돌봐줄 사람이 없어 나이도 어린 제가 돌봐줘야했습니다. 제 또래 아이들이 가방을 메고 학교에 가는것을 보면 얼마나 부러웠던지, 기회가되면 꼭 학교에 가야겠다는 생각을 가슴에 품고 살아온 날이 제 나이 73세가 되어서 학교에 오게 됐습니다.”

#.2 송명순 어르신

“배움이 부족하다는 생각에 자신감이 없어지고 답답했는데 이젠 당당하게 초등졸업장을 받을수 있게되어 감사드립니다. 여기서 멈추지 않고 계속 노력하면 된다는 용기가 생겨서 너무 좋습니다. 좋은 선생님과 좋은 어니, 동생을 많이 알게되어 행복합니다. 이런 계기를 만들어주셔서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3 이경희 어르신

“집안이 어려워서 학교를 가지 못했습니다. 젊어서는 공부는 생각도 못하고 어렵게 살다보니 학교는 꿈도 꾸지 못했습니다. 그러나보니 결혼도 일찍했지요. 시어머니와 친정엄마를 모시고 살았고, 그러다보니 아이가 생기고 4자매를 키웠습니다. 이제는 딸도 다 출가하고 그들은 아들, 딸 낳고 행복하게 잘 살고 있습니다. 늦게 용기를 내어 주부평생학교에 찾아가 입학을 했습니다.”

image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감사의 손 편지 전북
이강모 kangmo@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