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박동진 선생 무대 보고 입문⋯판소리에 인생 걸었다”

제 51회 전주대사습놀이 판소리 명창부 장원 최호성 씨

image
30일 전주시 국립무형유산원에서 열린 ‘제51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에서 판소리 명창부 장원을 차지한 최호성 씨가 앙코르 공연을 하고 있다. 조현욱 기자

전주대사습놀이 판소리 명창부 장원에 최호성(38) 씨가 이름을 올렸다. 올해로 두 번째 출전인 그는 30대 젊은 나이에 장원의 영예를 안으며, ‘연륜’ 중심의 전통 판소리 무대에 신선한 바람을 불어넣었다.

최 씨가 소리 길에 들어선 건 여덟 살 무렵. 우연히 관람한 고(故) 박동진 명창의 무대에서 울고 웃는 관객들의 모습이 어린 마음에 강한 인상을 남겼다. “무대 위 모습이 너무 멋있어서, 부모님께 졸라 배우기 시작했죠.”

그의 수상은 단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앞서 도전했던 ‘전주대사습놀이’는 4~5년 전 첫 도전에서 예선 상에 머물렀다. 최 씨는 “이번엔 그저 방송에 내 소리를 한번 실어보자는 게 목표였는데, 장원까지 하게 돼 얼떨떨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장원이라는 결과 뒤엔 매일같이 연습실에 출퇴근하며 쌓은 시간이 있었다. “퇴근하면 연습실로 가고, 자고 출근하고 또 연습했죠. 특별한 비결은 없어요. 그냥 그렇게 살았습니다.”

그는 현재 국립창극단 창악부에서 활동 중이다. 한때 심한 변성기로 인해 소리를 포기할 뻔했지만, 수술과 재활을 거치며 목소리를 회복했다. 그는 “주변에서도 다 말릴 정도로 심했는데, 다행히 회복이 되어 지금까지 소리를 이어올 수 있었다”고 말했다.

전통 판소리의 위축된 현실도 언급했다. 최 씨는 “시대 흐름 속에 전통 판소리가 자꾸 뒷전으로 밀려나는 것 같아 안타깝다. 이번 수상이 전통예술 계승에 작게나마 힘이 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최근 몇 년간 젊은 남성 소리꾼의 부재가 지적되는 가운데, 최 씨는 “먹고 사는 현실을 무시할 수 없는 게 사실”이라며 “저 역시 같은 고민을 겪어왔기에 무조건 하라고는 말 못하겠지만, 뜻이 있다면 길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번 장원수상은 그에게도 “새로운 출발점”이다. 최 씨는“이번 수상은 끝이 아니라 시작입니다. 더 좋은 소리로 보답하겠다”며 앞으로의 포부를 밝혔다.

 

전현아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문학·출판전주문인협회 ‘다시 읽는 나의 대표작’

문학·출판교육 실종 시대에 던지는 질문, 신정일 ‘언제 어디서나 배웠다’

교육일반전북교육청, ‘깜깜이 5급 승진’ 의혹 해소 촉구

건설·부동산전북 상업용 부동산, 임대 정체에 수익률도 전국 하위권

경제김민호 엠에이치소프트 대표 “우리는 지금 인공지능의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