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청도설(道聽塗說)
길 도(道), 들을 청(聽), 길 도(塗), 말씀 설(說)
길에서 듣고 길에서 말한다는 의미로 좋은 말을 듣고도 마음에 새기지 아니함을 비유하여 일컫는 말
왕도(王道):임금은 인덕(仁德)을 근본으로 천하를 다스려야 한다는 정치 사상
청중(聽衆): 연설 따위를 듣는 사람들
글자 그대로는 '길에서 들은 이야기를 바로 길에서 다시 이야기한다'는 말인데 공자가 말한 "도청이도설 덕지기야(道廳而道說 德之棄也)" 즉, 길에서 들은 이야기를 다시 그대로 길에서 이야기해 버리는 것은 그 속에 있는 중요한 것을 생각하려고 하지 않는 것이므로 덕(德)을 버리는 것과 같다"에서 나온 말이다. '도(道)와 도(塗) 모두 '길'이라는 의미이다.
귀동냥으로 한 마디 들은 것을 마치 자기가 생각해 낸 것이나 되는 것처럼 자랑삼아 아무렇게나 떠들어대는 사람이 많다. 어쩌면 나를 포함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러한지도 모른다.
남의 말을 귀담아 듣는 것도 수양(修養)의 한 방법이다. 좋은 말을 스승으로 삼아 이를 깊이 생각하고 실천하는 것이 학문하고 수양하는 사람의 올바른 태도이다. 또 그것이 덕을 살리는 길이기도 한다. 깊이 생각하고 실천하는 것이 아니라 들은 것만을 다행으로 여겨 그 자리에서 써먹기에만 급급한 사람은 경박한 사람이다고 할 수 있다.
사불급설(駟不及舌)이라는 말이 있다. 네 마리의 말이 끄는 빠른 마차라도 혀의 빠름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의미로 말이라는 것은 그만큼 빠르게 퍼지는 것이니 말을 조심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