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봄철마다 기침이나 눈병 등 각종 질환을 일으키는 불청객인 황사(黃沙)가 발생 빈도나 농도에서 올해 사상 최악이 예상되고 있다.
환경부는 국내 황사 발원지인 내몽골고원의 훈산다크사막과 만주지역의 커얼친사막의 강수·강설량이 겨울철인 지난해말부터 최근까지 극도로 적어 올해 황사발생 빈도와 농도가 사상최악이었던 지난 2002년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또 예년에 비해 한달가량 빠른 지난 14일 서울·경기를 제외한 전지역에서 황사가 발생한 점도 이같은 예상을 뒷받침한다고 설명했다.
당시 제주에서 미세먼지농도가 2백84㎍/㎥(1㎥당 미세먼지 무게)을 기록하고 군산, 광주 등 남부지방에서 260∼280㎍, 충주와 청주, 대전 등 중부지방은 2백㎍을 조금 넘는 등 약한 황사현상이 나타난 바 있다.
지금까지 최악의 황사현상이 발생한 해인 2002년에는 7번이나 황사현상이 발생해 모두 16일동안 지속됐었다.
환경부는 특히 중국 전국토의 17.6%인 1백69만㎢가 사막지역이 될 정도로 사막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해가 갈수록 황사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동아시아 지역의 기후온난화로 인해 계절풍이 약화되면서 황사발생이 감소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지만 황사발원지의 건조정도가 워낙 심해 사상 최악의 황사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이에따라 정부는 황사 발생때 가급적 외출을 삼가하고 외출시에는 마스크를 착용하며,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실외활동을 금지하거나 수업을 단축 또는 휴업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